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해' 대신 고유부호로 표기…내일 국제수로기구서 결정

'일본해'→'동해' 수정한 아르헨티나 매체 사진 (사진=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제공) (사진=연합뉴스)
▲ 아르헨티나 매체 위켄드가 '일본해'(왼쪽) 표기를 '대한해협'으로 바꾼 사진으로 지난해 12월 12일 촬영됐다.

세계 각국이 바다의 이름을 표기할 때 기준으로 삼는 국제수로기구(IHO)의 표준 해도(海圖) 집에서 '일본해' 대신 새로운 표기 방식을 도입할지가 16일 결정됩니다.

해양수산부는 16∼18일 화상으로 개최되는 제2차 국제수로기구(IHO) 총회에서 '일본해' 표기를 쓰고 있는 해도집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의 개정판인 'S-130'을 제작·발간할지 여부가 결정된다고 15일 밝혔습니다.

1929년 초판이 나온 S-23은 동해를 '일본해'라고 표기했습니다.

일본은 그간 이를 근거로 한국 동해의 명칭이 '일본해'라는 주장을 고수해 왔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정부는 1997년부터 '동해' 병기를 주장해 왔으나 제대로 반영되지 않다가 2017년 4월 열린 IHO 제1차 총회를 계기로 북한, 일본과 비공식 협의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남·북한과 일본이 지난해까지도 합의에 이르지 못함에 따라 IHO 사무총장이 지명 대신 '고유부호'로 바다를 표기하는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이 방식이 반영된 새 표준이 'S-130'입니다.

회원국들은 이번 총회에서 'S-130'을 도입하는 안에 관해 결정할 예정입니다.

해수부 등에 따르면 S-130 도입에 대한 회원국들의 반응이 대체로 긍정적이어서 통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관한 결정은 한국시간으로 16일 오후 9시쯤 시작돼 다음 날 오전에 나올 전망입니다.

총회에서는 국제수로기구 안에 온라인 교육기관인 '이러닝(e-러닝) 센터'를 구축하고 기구 내부의 기술결의를 개정하는 방안도 논의됩니다.

다음 회기를 이끌어갈 이사회 구성도 이뤄집니다.

한국은 국적선 총톤수로 상위 10개 국가 중 6위여서 1차(2017∼2019년)에 이어 2차(2020∼2022년)에도 이사국 진출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총회는 당초 4월에 모나코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비대면으로 변경되고 일정이 늦춰졌습니다.

총회에는 전 세계 90여 개 회원국이 참여합니다.

한국에서는 해수부, 외교부, 한국수로학회, 동해연구회 등 26명의 전문가가 대표단으로 참가합니다.

우동식 해수부 국제협력정책관은 "이번 IHO 총회에서 우리 관심 의제가 통과되도록 적극적인 대응과 노력을 다 하겠다"며 "이사국 진출, 이러닝 센터 설립 참여 등으로 국제사회 발전에도 기여하는 해양 선진국으로서의 역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제공)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