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19 중증 환자, 퇴원했다고 다 나은 게 아니다

코로나19 중증 환자, 퇴원했다고 다 나은 게 아니다
▲ 미시간 의대의 코로나19 진료팀

코로나19로 입원 치료를 받은 중증 환자들은 퇴원 후에도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후유증에 시달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체 퇴원 환자의 7%, 중환자실 퇴원자의 10% 이상이 2개월 안에 사망했고, 재입원하는 환자도 15%에 달했습니다.

올해 봄부터 여름까지 미국 미시간주의 38개 병원에 입원했던 중증 코로나19 환자 1천250명의 퇴원 후 상황을 전화 인터뷰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입니다.

미시간주는 미국 내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일찌감치 절정에 달했던 지역 중 하나입니다.

미시간 의대 연구진은 최근 이런 내용의 논문을 미국 내과학회지(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했습니다.

미국 과학진흥협회 사이트( 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전화로 인터뷰한 488명의 중증 퇴원 환자 중 약 39%가 두 달이 지나도록 정상적인 활동을 못 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응답자의 12%는 코로나19에 걸리기 전처럼 일상적인 기본 관리를 혼자서 해내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또한 23%는 계단을 오를 때 호흡이 가쁘다고 했고, 3분의 1은 미각이나 후각 이상 같은 코로나19 증상이 사라지지 않았다고 호소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건강 문제로 이전의 직장에 돌아가지 못한 환자가 40%에 달했고, 그 중엔 완전히 실직한 경우도 일부 있었습니다.

원래 직장에 복귀한 사람 중에서도 26%는 건강 문제로 근무 시간이 줄었다고 했습니다.

이밖에 작게라도 재정적 충격을 받았다는 응답이 37%, 저축한 돈을 완전히 또는 대부분 소진했다는 응답이 10%였습니다.

비용 부담 때문에 식품, 난방, 주거, 의료 등의 지출을 제한하고 있다는 응답도 7%였습니다.

논문의 수석 저자인 할리 프레스콧 박사는 "코로나19로 입원 치료를 받은 환자의 회복을 더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시급히 개발해야 한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미시간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