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시가격 시세 90%까지↑…6억 이하 주택 재산세율 0.05%P↓

정부가 부동산 공시가격을 시세의 90%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확정했습니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2030년까지 10년간, 단독주택은 2035년까지 15년간 꾸준히 공시가격을 올려 현실화율(공시가/시세)을 90%까지 높이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연 3~4%, 단독주택은 3~7%씩 공시가격이 오릅니다.

공시가격 인상으로 인한 서민층의 조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1세대 1주택자가 보유한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의 재산세율을 내년부터 3년간 0.05%포인트씩 인하합니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과 공시가격 현실화에 따른 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재산세 부담 완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부동산 공시가격은 시세의 90% 수준까지 점진적으로 현실화됩니다.

올해 기준으로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은 토지(표준지)는 65.5%, 단독주택(표준주택)은 53.6%, 공동주택은 69.0% 수준으로, 내년부터 모두 공시가격을 현실화율이 90%가 될 때까지 꾸준히 올리게 됩니다.

단, 목표 달성 시점은 유형별·가격대별로 달라집니다.

현실화율은 평균적으로 연간 약 3%포인트씩 오르는데, 현재 현실화율 수준이 유형별·가격대별로 각기 다르기에 공동주택은 가격대별로 5~10년, 단독주택은 7~15년, 토지는 8년에 걸쳐 현실화 목표를 달성합니다.

주택은 시세 9억 원을 기준으로 현실화율이 올라가는 양상이 다소 다릅니다.

9억 원 미만 주택은 초기 3년간 일정 수준의 중간 목표(현실화율)에 도달하도록 완만하게 공시가격을 올리고 이후 목표치까지 끌어올리게 합니다.

초기 3년간은 현실화율 인상폭을 1%포인트로 줄여 초기 충격을 줄인 다음 3%포인트씩 높여나간다는 것입니다.

현재 9억 원 미만 주택의 현실화율은 공동주택이 68.1%, 단독주택은 52.4%로, 이를 3년 뒤인 2023년에는 공동주택은 70%, 단독주택은 55%로 모두 맞추게 됩니다.

이후엔 매년 3%포인트씩 균등한 폭으로 현실화율을 끌어올려 90%에 이르게 합니다.

9억 원 이상 주택은 바로 목표한 현실화율을 향해 균등하게 상승시킵니다.

공동주택은 9억 원 이상은 모두 연 3%포인트씩 올리지만 단독주택은 9억~15억 원은 연간 3.6%포인트 오르고 15억 원 이상은 연간 4.5%포인트 상승해 그래프의 기울기가 다소 다릅니다.

이 속도로 공시가격을 올리게 되면 9억 원 미만 공동주택은 현실화율이 2030년 90%에 이르게 됩니다.

9억~15억 원은 2027년, 15억 원 이상 공동주택은 2025년에 현실화율 90%에 도달합니다.

단독주택은 9억 원 미만 주택은 2035년 현실화율이 90%가 되고 9억~15억 원 주택은 2030년, 15억 원 이상은 2027년까지 현실화율 90% 목표를 맞춥니다.

토지의 경우 현실화율을 연간 3%포인트씩 올려 2028년까지 90%에 도달합니다.

국토부는 현실화율이 현저히 낮은 부동산의 공시가격 급등에 따른 부담을 고려해 연도별 제고 상한은 평균 제고분의 2배인 6%포인트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현실화에 따른 공시가격 변동은 공동주택 연 3~4%, 단독주택 3~7%, 토지 3~4%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시세 9억 원 미만 주택은 초기 3년간은 연간 1~1.5% 수준으로 오르지만 단독주택 중 시세 9억 원 이상인 주택은 연간 4~7% 수준으로 공시가격 상승폭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은 2021년도 공시가격 산정부터 적용됩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1세대 1주택자가 보유한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에 대해선 3년간 재산세율을 0.05%포인트 인하해주기로 했습니다.

당정은 그동안 재산세율 인하 가격 구간을 9억 원 이하와 6억 원 이하 중 어느 것으로 할지 격론을 벌였고, 그 결과 6억 원 이하 주택으로 정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공시가격 1억 원 이하는 최대 3만 원, 1억~2억 5천만 원은 3만~7만 5천 원, 2억 5천만~5억 원은 7만 5천~15만 원, 5억~6억 원은 15만~18만 원이 감면됩니다.

감면율은 22.2~50%입니다.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주택은 금액 자체는 적지만 50%의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초과 누진과세의 특성상 주택 가격이 높을수록 감면율은 낮아집니다.

행안부는 1주택 보유자 대부분이 이번 세율 인하를 통한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올해 부과된 재산세를 기준으로 보면 1인 1주택 1천86만 가구 중 공시가격 6억 원 이하인 1인 1주택은 94.8%(1천30만 가구)에 달한다고 행안부는 설명했습니다.

행안부는 이를 통해 연간 4천785억 원, 3년간 약 1조 4천400억 원의 세제 지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율 인하는 내년부터 2023년까지 3년간 적용하고, 이후 주택시장 변동 상황과 공시가격 현실화 효과 등을 고려해 연장 여부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인하된 세율은 내년 재산세 부과분부터 적용합니다.

과세 기준일은 6월 1일입니다.

행안부는 이를 위해 정기국회에서 지방세법 개정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