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가 취임 이후 첫 한일 국장급 협의…강제 동원 '평행선'

스가 취임 이후 첫 한일 국장급 협의…강제 동원 '평행선'
▲ 외교부 도착한 다키자키 시게키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

한국과 일본 외교 당국이 스가 일본 총리 취임 이후 처음으로 국장급 협의를 하고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배상 문제 등 현안을 논의했지만, 입장 차이를 좁히진 못했습니다.

다만, 한국 측은 스가 총리 취임 이후 일본의 해결 의지가 높아진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김정한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과 다키자키 시게키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오늘(29일)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2시간 넘게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한일 국장급 협의는 지난 6월 화상으로 진행된 이후 4개월여 만으로, 대면 협의는 코로나19 확산 전인 지난 2월 이후 처음입니다.

김 국장은 2018년 10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 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과 관련한 정부 입장을 설명하며 일본 정부와 피고 기업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보다 성의 있는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일본이 부당한 수출 규제를 유지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조속한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일본 측은 강제 동원 배상 판결 자체가 국제법 위반이니 한국이 시정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수출 규제는 별개의 문제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을 만나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스가 총리 취임 이후 일본 입장이 달라진 점은 없느냐'는 질문에 "해결해야겠다는 의지의 수준이 조금은 높아진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늘 협의에서는 우리 정부가 연내 서울 개최를 추진 중인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김 국장은 정상회의에 일본도 호응해달라고 했지만, 일본 측은 참석 의사를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측이 참석하겠다고는 안 했다"면서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국장은 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문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일본 측에 전달했습니다.

앞서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오늘 오전 다키자키 국장과 한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를 했습니다.

양측은 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에 진전을 가져오기 위한 한일, 한미일간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외교부가 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