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서울의 대기가 점점 건조해지면서 사막화가 같은 대기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2000년대 이후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은 기상청에서 관측한 서울과 주변 지역의 지난 50년간(1970~2019)의 각종 기상 자료를 이용해 건조지수를 만들어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27일) 밝혔습니다.
연구결과는 오는 28일부터 29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2020년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
연구팀은 1970년부터 2019년까지 50년 동안 건조지수를 산출한 결과 전 기간에 걸쳐 건조지수가 뚜렷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조지수는 증발산량에 대한 강수량의 비율로 건조지수가 감소한 다는 것은 강수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증발산량은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2000년 이후에 지표면 건조화가 더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서울의 지표면 온도 상승, 상대습도의 감소 그리고 일사량의 증가가 잠재 증발산량의 증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서울과 주변 지역을 비교했을 때, 2000년대 이후 서울 지역의 건조화 경향이 주변 지역보다 강하게 나타난 것은 서울 지역의 상대습도가 주변 지역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면서 잠재 증발산량이 증가했고, 이로 인해 서울과 주변 지역의 건조지수 차이가 커진 것으로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정수종 교수는 "2000년 이후 서울의 도시 건조화가 주변 도시에 비해 급격하게 진행되어 사막화와 같은 대기 반응이 나타나났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서울의 도시열섬 현상과 같은 온도 증가로 인한 문제를 넘어서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따라 도시 기후 자체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