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로드맵…고가보다 저가 더 오른다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로드맵…고가보다 저가 더 오른다
정부가 2030년까지 아파트 등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토지 등 모든 유형의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공시가/시가)을 90%까지 맞춘다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의장은 오늘(27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국토연구원의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은 2030년까지 시가의 90%까지 맞추는 내용"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 방안은 타이완 모델을 참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타이완도 부동산 가격 현실화율을 10년에 걸쳐 90%까지 맞춘 바 있습니다.

현실화율 목표치와 달성 시점이 정해졌다면 부동산 유형별, 가격대별로 목표에 도달하는 속도는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유형과 시세 구간별로 모두 제각기이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작년부터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인상을 추진해 왔는데, 상대적으로 고가 부동산이 저가보다 현실화율이 낮아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보고 고가 부동산 위주로 공시가격을 끌어올렸습니다.

올해 공시가격의 경우 단독주택과 공동주택 모두 시세 9억 원을 기준으로 나눠 그 이하인 부동산은 시세상승분만 공시가격에 반영했지만 9억 원이 넘는 부동산은 현실화율을 인위적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이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이제는 고가 부동산보다 저가 부동산의 현실화율이 낮습니다.

이 때문에 로드맵을 추진하려면 9억 원 이하 중저가 부동산에 대해서도 현실화율 인상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로드맵 추진으로 그동안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시세 상승분 이상 인위적으로 끌어올리지 않는 중저가 부동산의 공시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를 수밖에 없다는 뜻입니다.

6억~9억 원 공동주택의 경우 현재 현실화율은 67.1%입니다.

이를 2030년까지 90%로 맞추려면 매년 2.29%포인트씩 올려야 합니다.

반면 30억 원 초과 공동주택은 이미 현실화율이 79.5%입니다.

30년까지 1.05%포인트씩만 올리면 목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단독주택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3억~6억 원 주택의 현실화율은 최근 3년간 52.2%를 유지해 왔습니다.

이를 2030년까지 90%로 맞추려면 현실화율은 매년 3.78%포인트 인상해야 합니다.

30억 원 초과 단독주택은 현실화율이 62.4%이니 2030년까지 매년 2.76%포인트만 올리면 됩니다.

정부는 당정협의를 통해 앞으로 10년간 고가 부동산에 비해 급격히 공시가격이 오를 중저가 부동산 보유자의 세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중저가 부동산에 대해선 세율을 낮춰 실질적인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