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19 감염시키고 지켜본다…영국, 논란 속 실험 강행키로

코로나19 감염시키고 지켜본다…영국, 논란 속 실험 강행키로
영국에서 건강한 사람을 일부러 코로나19에 감염시켜 면역 기제를 찾겠다는 실험이 정부 주도로 시작됩니다.

코로나19가 속수무책으로 퍼지는 상황에서 백신 개발의 실마리라도 잡으려는 취지이지만, 아직 확실한 치료제가 나오지도 않았는데 일부러 바이러스에 감염시키는 것은 비윤리적이며 위험한 시도라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20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CNN 방송 등에 따르면 영국 임피리얼 칼리지 런던(ICL) 연구진은 내년 초 건강한 지원자들을 고의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시키는 실험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이른바 '인체 유발반응 시험'(HCT·휴먼챌린지시험)으로 불리는 이번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난 적 없고, 심장병이나 당뇨 등 위험 요인을 갖지 않은 18∼30살 참가자를 최대 19명 모집합니다.

연구진은 이들을 바이러스에 고의로 감염시킨 뒤 어떻게 백신이 증상 및 감염을 막는지, 또 이들의 면역 체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합니다.

이번 실험에는 영국 공공의료 체계인 국민보건서비스(NHS)의 정부 자금이 지원됩니다.

연구진은 우선 런던 로열프리병원에서 실험을 시작한 뒤 전국 다른 지역으로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알로크 샤르마 영국 산업 장관은 자금 지원을 발표하면서 "획기적이면서도 신중하게 관리되는 이번 연구로 바이러스 규명 및 백신 개발에 중대한 발걸음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영국 정부가 합의한 지원 자금은 3천360만 파운드(약 494억9천만 원)이며, 1월 시험을 시작해 그해 5월까지 결과가 나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실험은 소수의 건강한 사람을 고의로 바이러스에 감염시킨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진행돼온 백신 개발 연구와 다릅니다.

현재 백신 개발의 3상 임상 시험에서는 수만 명에게 개발 단계인 백신을 주입한 뒤 일상생활로 돌려보내 바이러스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도록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확실하게' 감염된 참가자들을 연구합니다.

HCT는 백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이뤄집니다.

장티푸스, 콜레라, 말라리아와 같은 전염병에도 적용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코로나19가 신종 전염병이라는 점에 있습니다.

확실한 치료제가 없는 데다가 치명률도 높아 중증환자나 사망자가 나올 우려가 있는 데다가 유용한 결과를 얻을지도 의문입니다.

고의 감염 찬성론자들은 많은 사람을 바이러스에 노출할 필요가 없고, 연구 결과가 빨리 나올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습니다.

반면 반대론자들은 확실하게 입증된 코로나19 치료제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안전 장치 없이 감염시키는 것은 비윤리적이며, 젊고 건강한 사람이라도 코로나19에 치명적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위험이 크다고 지적합니다.

또 젊고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전체 인구에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도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와 관련해 영국 연구진은 참가자 등록 전에 독립적인 윤리 및 보건 위원회의 승인을 받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