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당국, 올해 첫 일본뇌염 확진에 주의 당부…"예방수칙 지켜야"

당국, 올해 첫 일본뇌염 확진에 주의 당부…"예방수칙 지켜야"
국내에서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보건당국이 예방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경기 이천에 거주하는 60대 여성이 지난 14일 일본뇌염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역시 경기 이천에 거주하는 70대 여성과 경기 시흥에 사는 50대 남성은 각각 지난 8일과 15일 일본뇌염 추정환자로 분류됐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확진환자와 추정환자 모두 지난달 발열과 의식저하 등 뇌염 증상을 보여 입원해 치료를 받았고, 이 중 2명은 증상이 호전됐습니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입니다.

이 모기는 국내에서는 매년 4월께 제주, 부산, 경남 등 남부지역에서 처음 확인되고 이후 국내 전 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7∼9월에 매체 밀도가 높아지고 10월 말까지 발견됩니다.

올해는 지난 3월 26일 제주, 전남에서 이 모기가 처음 발견되면서 질병관리청이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7월 23일에는 부산지역에서 전체 모기 중 이 모기의 밀도가 50% 이상이 되면서 일본뇌염 경보를 내렸습니다.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리더라도 대부분은 증상이 없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에 그칩니다.

그러나 일부에서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본뇌염은 백신 접종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어린이는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성인의 경우 논이나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자주 나타나는 곳에 사는 사람, 앞서 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접종을 권장합니다.

이 밖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야외활동을 할 때는 밝은색의 긴 바지, 긴 소매 옷을 입어 피부가 노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옷이나 신발 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이 좋고 야외 활동을 할 때는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