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수도권 노인 · 정신병원 종사 및 이용자 16만 명 전수검사

정부, 수도권 노인 · 정신병원 종사 및 이용자 16만 명 전수검사
방역당국이 수도권 지역 노인병원과 정신병원,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 및 이용자 16만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수검사를 하기로 했습니다.

방역당국은 아울러 부산 '해뜨락요양병원'에서도 새로운 집단감염이 발생한 만큼 향후 비수도권의 관련 시설로 전수검사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오늘(14일) 정례브리핑에서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노인·정신병원 종사자와 노인주간보호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선제적 전수검사를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 16만 명 가운데 종사자가 13만 명, 시설 이용자가 3만 명입니다.

전수 검사는 이달 중순부터 바로 시작돼 약 1주일 정도 걸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대본은 최근 추석 특별방역대책이 종료되고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가 기존 2단계에서 1단계로 하향 조정된 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 고위험군에 대한 정밀 방역을 강화하기 위해 전수 검사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질병관리청 출범과 함께 개설된 '수도권 질병대응센터'가 전수 검사를 주도하게 됩니다.

홍정익 방대본 총괄팀장은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백브리핑에서 "그간 수도권에서 고위험군 중심의 유행이 많았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고위험군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검사를 하기로 했다"며 "이번 달 중순부터 검사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수검사는 향후 상황에 따라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 확대될 수도 있습니다.

홍 총괄팀장은 "수도권의 경우 지역사회에서 유행이 있어 먼저 검사하는 것"이라며 "오늘 (고위험군의 집단감염이) 수도권 이외 부산 등에서도 벌어졌는데 만약 다른 지자체도 수요가 있고, 또 수도권 사례를 살펴 선제적 검사가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면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검사 후 어느 정도 (코로나19) 양성이 나오는지 확인한 뒤 병원과 시설 면에서 대상자를 추가할 수 있을지, 또 일회성이 아니라 주기적인 검사를 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평가할 것"이라며 "그 이후에 다시 확대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