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부채가 1천630조 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30대 이하와 60대 이상 차주들이 가계부채 증가를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 전년 동기 대비)는 작년 3분기 3.9%, 4분기 4.1%, 올해 1분기 4.6%, 2분기 5.2% 등 최근 들어 증가세가 커져왔습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윤두현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연령대별·업권별 가계대출 구성비' 자료(대출금액 기준)에 따르면 전체 가계대출에서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연간 24.8%에서 2020년 2분기 26.0%로 3년 반 동안 1.2%포인트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16.6%에서 18.6%로 2.0%포인트 늘어났습니다.
이는 한은이 약 100만 명의 신용정보로 구성된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를 바탕으로 시산한 수치입니다.
반면 같은 기간 40대(30.4%→28.7%)와 50대(28.1%→26.6%)가 차지하는 비중은 1∼2%포인트가량 떨어졌습니다.
30대 이하 연령층의 가계 대출 비중이 증가한 배경으로는 부동산 시장이 첫 손에 꼽힙니다.
30대 연령층이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뜻의 신조어)'을 통해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가 크게 늘면서 집 장만을 위해 돈을 빌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60대 이상의 가계 대출 구성비가 증가한 까닭은 고령화로 인해 60대 인구 자체가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연령대별로 돈을 빌리는 업권에도 차이가 났습니다.
가계대출 내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0대 이하 차주들의 전체 대출에서 은행권 대출 비중은 2016년 27.7%에서 올해 2분기 30.6%로 3년여 동안 2.9%포인트 늘어났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비은행권 대출 비중은 21.0%에서 19.9%로 1.1%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나 소득 수준이 높은 30대 이하 차주들이 대거 은행을 통한 대출을 늘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달리 60대 이상 고령층의 대출 비중은 비은행권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했습니다.
60대 이상 차주들의 은행권 대출 비중은 2016년 13.7%에서 올해 2분기 14.4%로 0.7%포인트 늘어난 데 비해 같은 기간 비은행권 대출 비중은 20.4%에서 24.8%로 4.4%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또한 40대와 50대의 경우는 전체 가계대출에서 해당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했으나, 업권별로 저축은행과 대부업에서의 대출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출 위험성이 더 커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저축은행의 경우 40대의 가계대출 비중이 2016년 31.2%에서 올해 2분기 32.9%로 늘었고, 같은 기간 50대는 20.9%에서 23.4%로 증가했습니다.
대부업의 경우도 40대의 가계대출 비중이 2016년 33.9%에서 35.6%로 늘었고, 50대는 19.8%에서 25.7%로 급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