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첫 여성 WTO 사무총장 눈앞…유명희 vs 오콘조

첫 여성 WTO 사무총장 눈앞…유명희 vs 오콘조
세계무역기구(WTO) 차기 사무총장을 선출하는 최종 라운드에 한국의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나이지리아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후보가 나란히 올랐습니다.

8일(현지시간) WTO 사무국의 공식 발표를 앞두고 AFP, 블름버그 통신 등은 소식통을 인용해 2차전 선거 결과를 전했습니다.

두 여성 후보가 오른 만큼, 누가 되든 WTO 25년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 사무총장이 탄생하게 됩니다.

누가 마지막 관문을 통과할지 섣불리 점치기는 어렵습니다.

두 후보 모두 영국, 사우디아라비아, 케냐 등 나머지 6명의 쟁쟁한 후보를 제치고 파이널 무대에 선 만큼, 역량 면에서는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평가입니다.

다만 서로 강점은 다릅니다.

유 본부장은 25년간 '통상 외길'을 걸어온 통상전문가입니다.

폭넓은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현직' 통상 장관이라는 점을 회원국들에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K-방역 등 코로나 19사태 대응 과정에서 높아진 한국의 위상이나 범정부 차원에서 유 본부장을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점 등도 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오콘조-이웰라는 나이지리아에서 두차례 재무장관(2003∼2006, 2011∼2015)과 외무부 장관(2006)을 역임한 최초의 여성입니다.

통상 분야 경험은 없지만, 정치력이 강점입니다.

1970년대 나이지리아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그는 하버드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MIT 대학원에서 지역경제 개발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세계은행에서 25년간 근무해 국제무대에서는 인지도가 꽤 높은 편입니다.

재무장관 시절인 2012년에는 김용 전 세계은행 총재와 총재직을 두고 막판까지 치열한 경쟁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이사회 의장으로, 코로나19 사태 속에 활발한 행보로 회원국들에 눈도장을 찍었습니다.

역대 WTO 사무총장 가운데 아프리카 출신이 없었던 만큼 아프리카 표심이 오콘조-이웰라 후보 쪽으로 결집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164개 WTO 회원국을 지역별로 보면, 아프리카가 40여개국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유럽연합(EU), 아시아, 미주 등의 순입니다.

역대 사무총장은 ▲ 1대 1993∼95 피터 서덜랜드(아일랜드) ▲ 2대 1995∼99 레나토 루지에로(이탈리아) ▲ 3대 1999∼2002 마이크 무어(뉴질랜드) ▲ 4대 2002∼05 수파차이 파니치팍디(태국) ▲ 5∼6대 2005∼13 파스칼 라미(프랑스) ▲ 7~8대 2013∼현재 호베르투 아제베두(브라질) 등입니다.

WTO 사무국은 3라운드이자 마지막 라운드의 협의 절차를 이달 하순부터 다음 달 6일까지 진행, 최종 결론을 11월 7일 전에 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라운드에서는 후보 2명 중 최종 1명을 컨센서스(의견일치) 방식을 통해 사무총장으로 추대합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