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달 서울 용산 · 서초 갭투자 비율 70% 넘었다

지난달 서울 용산 · 서초 갭투자 비율 70% 넘었다
지난달 전세보증금을 끼고 주택을 매수하는 갭투자 비율이 서울 강남권 등 일부 지역에선 70%대까지 오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18년 이후 갭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고가 주택이 많은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용산구 등의 갭투자 비율은 60~70%에 달했습니다.

갭투자 비율은 주택을 매수하고서 제출하는 자금조달계획서상 임대차보증금을 승계하는 조건이 달린 거래의 비율입니다.

서초구에선 225건 중 163건(72.4%)이 갭투자였습니다.

강남구는 62.2%, 송파구는 50.7%가 갭투자였습니다.

강남권 외에도 고가 주택이 많은 용산구는 123건 중 87건(70.7%)이 임대보증금을 낀 갭투자였습니다.

이외 지역은 갭투자 비율이 보통 30~40%대인 점과 대조를 이뤘습니다.

정부가 시가 15억 원 초과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을 금지하는 등 대출 규제를 대폭 강화한 이후 고가 주택이 많은 강남권 등지에선 높은 전세보증금 등을 레버리지 삼아 주택을 사들이는 갭투자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강남구에선 한때 갭투자 비율이 80%대에 육박하기도 했습니다.

6월 강남구에서 자금조달계획서가 신고된 거래 914건 중 720건(78.8%)이 갭투자였습니다.

지난달 수도권에선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58.8%)와 중원구(51.6%) 등지에서 갭투자 비율이 50%를 넘겼습니다.

최근 3기 신도시인 하남 교산 지구 개발로 주목받고 있는 하남도 142건 중 82건(57.7%)이 갭투자였습니다.

하남은 5월 일시적으로 53.6%까지 오른 것을 제외하면 올해에는 갭투자 비율이 20~30%대에 머물렀는데 지난달에는 전달(22.0%)보다 35.7%포인트 치솟았습니다.

박상혁 의원은 "갭투자는 내 집 마련 목적보다는 투기적 성격이 강해 최근 수도권 집값 상승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강조하고 "정부는 앞서 발표한 갭투자 방지 대책을 철저히 시행해 집값 안정을 실현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