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상반기 세계 관광객 4.4억 명↓…작년보다 65% 감소

상반기 세계 관광객 4.4억 명↓…작년보다 65% 감소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 관광객이 지난해보다 6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한국이 포함된 동북아 지역 관광객이 80% 넘게 줄어 가장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관광객 감소로 540조 원 수준의 경제 손실이 발생했고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경제 손실의 약 5배에 달하는 것입니다.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와 한국관광협회중앙회에 따르면 UNWTO는 최근 보고서에서 상반기 전 세계 관광객이 지난해 동기보다 65%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인원으로는 4억3천892만7천 명이 감소한 것입니다.

월별로 보면 올해 1월 여행객이 지난해 동월 대비 1% 늘었다가 2월부터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감소율이 2월 16%에서 3월 64%로 급등한 데 이어 4월 97%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이후 5월 96%, 6월 93%로 다소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90% 선을 웃돌고 있습니다.

상반기 여행객 감소 현황을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관광객이 지난해 동기보다 72% 줄어 감소율이 가장 높았고 유럽 66%, 아프리카 57%, 중동 57%, 미주 55% 등의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중에서도 한국이 포함된 동북아시아 지역의 관광객 감소율은 83%로 더욱더 높았습니다.

동북아시아 지역 국가 중에는 홍콩의 감소율이 91%로 가장 높고 중국 84%, 마카오 84%, 몽골 80%, 타이완 79%, 일본 76%, 한국 75% 등입니다.

UNWTO는 상반기 관광객 감소에 따른 경제 손실이 4천600억 달러에 이른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이는 540조 원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UNWTO는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중인 2009년 기록한 경제 손실의 약 5배에 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 기구는 올해 한 해 전 세계 관광객은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58%에서 최대 78%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각국이 코로나19로 봉쇄된 국경을 7월에 점진적으로 개방할 경우 전 세계 여행객 감소율은 58%에 그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국경을 9월에 점진적으로 개방할 경우에는 감소율이 70%에 달하고 국경 개방 시기가 12월이면 감소율이 78%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UNWTO는 여행 금지 조치를 점진적으로 풀고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가 이용 가능해도 여행객이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2년 6개월에서 최대 4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앞서 UNWTO는 올해 전 세계 관광객은 8억5천만 명에서 최대 11억 명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에 따른 경제 손실은 9천100억 달러에서 1조2천억 달러로 예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