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복부비만 위험 줄이려면?…하루 8시간 수면은 기본

복부비만 위험 줄이려면?…하루 8시간 수면은 기본
하루 수면 시간이 8시간일 경우 복부비만 위험도가 가장 낮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규석·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최준호·조경희 교수팀은 지난 2016∼2017년 제1·2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나타난 국내 20세 이상 남성 3천997명의 수면 시간과 허리둘레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허리둘레(㎝)를 비만의 지표로 사용했고, 성인 남성의 허리둘레가 90㎝ 이상일 경우 복부비만으로 정의했습니다.

연구팀은 3천997명 중 가장 많이 응답한 수면시간 7시간 군 1천371명(34.8%)을 대조군으로 삼았습니다.

5시간 이하는 501명(12.1%), 6시간은 1천19명(25.8%), 8시간은 829명(19.2%), 9시간은 277명(5.8%)이었습니다.

그 결과 평균 수면 시간이 8시간인 집단의 복부비만 위험도가 가장 낮았습니다.

이들이 복부비만일 확률은 7시간 군보다 10% 낮았습니다.

수면 부족은 물론 수면 과잉 역시 허리둘레 증가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집단은 대조군보다 복부비만 위험도가 약 49% 높았고, 9시간 집단도 약 11% 높았습니다.

수면 시간이 짧은 경우 식욕조절 호르몬인 렙틴 분비가 감소하고, 식욕 촉진 호르몬인 그렐린의 분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음식의 과잉 섭취와 그 결과로 인한 체중 증가가 초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팀은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병 발병 및 사망에는 체질량지수(BMI)의 증가에 따른 비만보다 허리둘레의 증가, 즉 복부 비만이 더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고 짚었습니다.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KJFP) 최근호에 발표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