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9천억 원을 들여 13세 이상 전 국민에게 통신비 2만 원을 지원하는 걸 두고서도 논란이 많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의 작은 위로이자 정성이라고 했지만 시장에 직접 풀리는 돈이 아닌 만큼 들이는 돈에 비해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고정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원 대상은 만 13세 이상 전 국민, 4천640만 명입니다. 
  
 
  
 이르면 다음 달, 통신비 2만 원이 한 차례 지급됩니다. 
  
 
  
 정부는 예산을 9천300억 원으로 예상했는데 이번 4차 추경안의 7.5% 수준입니다. 
  
 
  
 [문재인 대통령 : 코로나로 인해 자유로운 대면접촉과 경제활동이 어려운 국민 모두를 위한 정부의 작은 위로이자 정성입니다.] 
  
 
  
 맞춤형, 즉 '선별'이 원칙인 2차 재난지원금 가운데 통신비만 유일하게 '보편 지원'인데, 시민들은 반가워하면서도 우려를 나타냅니다. 
  
 
  
 [김동규/서울 가양동 : 코로나 때문에 아르바이트도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 같아요.] 
  
 
  
 [서유순/서울 목동 : 도움을 주면 좋지만 세금으로 또 그만큼 지출돼야 하니까 조금 더 심각하게 생각했으면 좋겠어요.] 
  
 
  
 정치권도 술렁입니다. 
  
 
  
 국민의힘은 선별 지급에 대한 비난을 의식한 포퓰리즘 정책이라며 차라리 독감 예방주사를 놔주라고 주장합니다. 
  
 
  
 [주호영/국민의힘 원내대표 : 전액 국민들에게 (독감 예방주사를) 무료로 접종하는 것이 통신비 2만 원 지급보다는 훨씬 더 필요하고….] 
  
 
  
 여권 내에선 이재명 경기지사가 당의 결정을 따를 것이라면서도 "돈이 직접 통신사로 들어가 버리니 승수 효과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정부가 푼 돈이 시장을 돌면서 경제적 효과를 더 창출하기는 어렵다는 겁니다. 
  
 
  
 4차 추경안 국회 처리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되는 대목입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