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월 취업자 27.4만 명↓, 6개월째 감소…"9월은 더 걱정"

8월 취업자 27.4만 명↓, 6개월째 감소…"9월은 더 걱정"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이 이어지고 장마와 폭우 피해까지 더해지면서 8월 취업자 수가 27만 명 넘게 감소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수도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강화된 영향은 반영되지 않은 것이어서 9월 고용 상황은 더 악화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08만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4천 명 감소했습니다.

지난 3월(-19만5천 명), 4월(-47만6천 명), 5월(-39만2천 명), 6월(-35만2천 명), 7월(-27만7천 명)에 이어 6개월 연속 감소입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8월에 8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11년 만에 최장 기간 감소입니다.

다만 감소폭은 4월을 정점으로 한 뒤 4개월째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정동욱 고용통계과장은 "8월 고용동향은 7월과 유사한 모습으로, 코로나19 장기화와 긴 장마가 영향을 미쳤다"며 "다만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은 지난달 16일부터였는데, 통계 조사 기간은 9∼15일이어서 그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취업자 수 증감을 업종별로 보면 도매·소매업(-17만6천 명), 숙박·음식점업(-16만9천 명), 교육서비스업(-8만9천 명) 등에서 많이 줄었습니다.

제조업도 5만 명 줄었습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6만 명), 운수·창고업(5만6천 명),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5만5천 명) 등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타격이 가장 컸던 숙박·음식점업은 전년 대비 취업자 감소폭이 7월(22만5천 명)보다 줄어든 반면 도·소매업은 감소폭이 7월(12만7천 명)보다 늘었습니다.

3차 추경 재정일자리 사업 일부가 실시된 영향으로 공공행정업 등의 취업자 증가폭은 7월(1만1천 명)보다 늘었고, 긴 장마 탓에 농업 부문이 영향을 받아 농림어업 취업자가 8월에 3천 명 감소로 돌아섰습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작년 동월 대비 1.0%포인트 하락인데, 8월 기준으로 2013년(60.2%) 이후 7년 만에 최저입니다.

실업률은 0.1%포인트 오른 3.1%로, 8월 기준 2018년(4.0%) 이후 최고치입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2.9%포인트 오른 7.7%였습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페이스북 글에서 "다음 달 발표될 9월 고용동향에는 전국적으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이 상당부분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자영업자, 임시일용직, 청년층 등의 어려운 고용여건이 지속되는 가운데 발생한 추가 충격의 여파를 생각하면 벌써부터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