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에 2학기에도 문 닫는 대학…등록금 반환 갈등 재현 조짐

코로나에 2학기에도 문 닫는 대학…등록금 반환 갈등 재현 조짐
2학기 개강을 앞두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각 대학이 1학기에 이어 비대면 강의 확대에 나서고 있다.

원격 수업 확대로 불거진 1학기 대학·학생 간의 등록금 반환 갈등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2학기에도 학생들이 비대면 강의를 듣게 되면서 등록금 논쟁이 다시 불거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30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대는 2학기 전체 과목을 A∼D 유형으로 나누고 강의를 맡은 교원들이 수업 운영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실험·실습·실기 강좌 중 A형 강의는 방역 조치를 강화한 상황에서 최소한의 수준에서 대면 강의를 할 수 있다.

나머지 유형의 경우 9월 모두 비대면 강의로 진행된다.

이론 강의 중 D형 강좌는 2학기 내내 비대면으로 수업한다.

고려대는 지난달 말 사회적 거리두기 1·2단계에서는 온·오프라인 병행 강의, 3단계에서는 전면 온라인 강의라고 2학기 학사 운영 매뉴얼을 제시했지만 지난 28일 대면 강의를 더 줄일 계획이라고 재차 공지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상황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지만 2학기 개강을 앞둔 시점에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졌다는 점을 고려해 대면 강의를 최소화하겠다고 안내했다"고 말했다.

연세대는 10월 말까지 모든 강의를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들 대학 외에도 전국 대부분 대학이 피치 못할 경우를 제외하고 짧게는 9월 2주까지, 길게는 중간고사 전까지 대부분 비대면 강의를 예고하고 있다.

거리두기 3단계로 격상될 경우 상당수 대학이 실기·실험·실습 위주 강의 역시 전면 비대면 수업을 하겠다고 내부 계획을 세워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비대면 강의 질과 연계한 등록금 환불 논란이 재차 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1학기 예상치 못하게 비대면 강의가 확산하면서 대학생들은 원격 수업의 질이 대면 수업보다 떨어지고, 도서관 등 학교 시설을 사용할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등록금 일부 반환을 주장했다.

정부가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에서 '대학 비대면 교육 긴급지원 사업'이라는 명목으로 1천억원을 편성하고, 원격 강의에 나선 대학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후 일부 대학이 특별 장학금 등의 형태로 1학기 등록금을 학생들에게 환불했으나 학생들의 불만은 여전하다.

등록금 반환 규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일부 대학은 기존에 주던 성적 장학금 규모를 줄여 특별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어서다.

더군다나 1학기와 달리 2학기에는 대학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추가 재정 지원도 없을 것으로 예상돼 학생들의 등록금 반환 요구에 대학들이 소극적으로 나올 공산이 크다.

대학들은 여전히 재정이 빠듯하다고 호소하고 있으나 교육부는 긴급 비대면 수업 지원 명목으로 대학에 재정을 지원하는 것은 한시적이라고 못 박은 상태다.

전국 101개 대학 총학생회가 모여 출범한 전국총학생회협의회 관계자는 "원격 강의 질 개선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불만은 해소되지 않았다"며 "대학들은 1학기 노하우가 쌓여 2학기에 원격 수업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상당수 교수님은 비대면 강의와 관련한 학생들의 불만에 대응조차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대학 내 원격수업 관리위원회를 구성해 학교 내 비대면 강의 질 제고 등 주요 사항을 논의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원격수업 지원센터 설치 등을 통해 대학의 강의 질 향상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