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집단면역 타진의 결과…스웨덴 상반기 사망자 150년 만에 최대

집단면역 타진의 결과…스웨덴 상반기 사망자 150년 만에 최대
코로나19 여파로 스웨덴에서 상반기 사망자가 150여년 만의 최대치를 나타냈습니다.

19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통계 당국은 상반기 사망자가 5만 1천40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1869년 상반기 대기근 등의 영향으로 5만 5천431명이 숨진 이후 151년 만에 최대를 보인 것입니다.

다만 스웨덴 전체 인구는 당시 410만 명이었고, 현재는 1천30만 명에 달합니다.

올해 상반기 사망자 중 코로나19에 따른 것으로 확인된 이들은 4천500명 정도로 추정됐습니다.

이 여파로 상반기 사망자는 최근 5년 평균보다 10% 증가했다고 통계 당국은 설명했습니다.

특히 올해 4월에는 코로나 사망자가 치솟으면서 평균보다 40% 웃돌기도 했습니다.

스웨덴은 대다수의 유럽 국가와 달리 코로나 대응에 느슨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엄격한 봉쇄 대신 사회적 거리두기 같은 자발적 수단을 적용했고, 학교와 영업장도 전면 폐쇄하지 않았습니다.

강력한 봉쇄조치를 취한 다른 북유럽 국가인 노르웨이는 현재 누적 코로나 사망자가 262명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스웨덴의 느슨한 방역은 집단면역에 대한 보건당국의 집착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됩니다.

집단면역은 많은 개체가 면역력을 지녀 전염병의 확산이 억제되면서 면역이 없는 개체들도 간접적으로 보호를 받는 상태를 말합니다.

항체 보유율이 60% 이상에 이르면 집단면역 효과가 있다고 보지만 코로나19 사태에서는 그런 상태에 도달한 곳이 없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관계자들을 비롯한 보건 전문가들은 집단면역을 목표로 삼는 것은 사실상 방역을 포기하는 것이라며 취약한 이들의 많은 희생을 고려할 때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스웨덴 보건당국은 여전히 다른 입장이며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마스크의 보편적 착용에도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스웨덴에서는 코로나19 대응을 총괄하는 감염병 학자가 집단면역을 위해서라면 노인들의 피해를 일부 감수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게 폭로돼 논란이 뒤따랐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안데르스 텡넬 스웨덴 공공보건청장은 지난 3월 핀란드 보건복지부 소속 전문가와의 이메일에서 "집단면역을 빨리 얻기 위해 학교를 개방해 놓는 게 한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텡넬 청장은 학교 폐쇄로 노령층 내 코로나19 확산이 10% 줄어들 것이라는 지적에 "10%라면 해볼 만하지 않으냐"고 답변했습니다.

스웨덴은 실제로 학교를 폐쇄하지 않았고 코로나19 사망자 중에는 노령층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이날 현재 스웨덴의 누적 확진자는 8만 5천400여 명, 누적 사망자는 5천800명 정도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