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비수도권 학교도 9월 11일까지 등교 인원 3분의 2 유지한다

비수도권 학교도 9월 11일까지 등교 인원 3분의 2 유지한다
2학기 전면 등교를 준비하던 비수도권 학교도 다음 달 11일까지 등교 인원을 전체 학생의 3분의 2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에 따른 후속조치를 논의하고자 오늘(19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전국 시·도 교육감과 영상 회의를 열어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코로나19가 전국으로 재확산하는 것을 막고자 수도권 이외 시·도가 9월 11까지 학교 내 밀집도를 3분의 2로 유지하도록 권고했습니다.

회의에 참여한 전국 교육감들은 이를 수락했습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원격 수업 장기화에 따른 학생 학력 격차를 우려해 등교 일수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들 지역에 학교 밀집도를 낮춰달라고 요구한 것입니다.

대구 지역의 경우 이번 주 단축 수업 등 학교별 상황에 맞게 학사 운영을 하고 24일부터 9월 11일까지 학교 밀집도 3분의 2 유지에 동참합니다.

유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1주일간 학생·교직원 확진자 74명의 77%인 57명이 서울과 경기에 집중됐으며 부산을 비롯한 여러 시도에서도 17명이 발생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8월 11일 이후 불과 일주일 동안 발생한 확진 학생과 교직원이 등교 수업을 시작한 5월 20일부터 발생한 숫자의 39%를 차지할 정도로 확산 속도가 무서운 상황"이라고 우려했습니다.

특수학교는 밀집도를 3분의 2로 유지하되 지역·학교 여건을 고려해 결정하고,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를 실시하는 부산은 오는 31일까지 강화된 밀집도 최소화 조치를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교육부는 앞서 서울·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일부 지역에 어제(18일)부터 9월 11일까지 유·초·중학교 밀집도를 3분의 1, 고등학교는 3분의 2로 유지하도록 한 바 있습니다.

전자출입명부 작성하는 학원

시·도 교육청은 정부가 300인 이상 대형학원 등에 오는 30일까지 집합금지 명령을 한 것과 관련, 지자체와 협의해 운영 중단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전국 모든 학원에 대해서는 방역수칙 준수 여부 등을 살펴봅니다.

교육부는 이와 별도로 철저한 방역 준비와 학습 격차·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서도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개학 사흘 전 자가진단 설문조사를 재개하고, 개학 후 1∼2주간 학교 단위 특별모니터링 기간을 둬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학생은 없는지 등을 점검할 계획입니다.

자가진단은 9월부터 학생뿐 아니라 교직원까지 참여하도록 하고, 다문화 가정을 위해 5개 국어로 지원합니다.

교육부는 원격수업으로 학생 간 학력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온라인 자율학습 콘텐츠를 지원하고, 교육청 단위 학습종합클리닉센터 130곳에서 학생 1만 2천700명의 학습을 도울 예정입니다.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보충수업·상담을 위해 등교하는 경우는 밀집도 기준에서 제외합니다.

이와 함께 각 학교가 학생들에게 안전한 돌봄 서비스도 지원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유은혜 부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님들의 걱정과 우려가 크다는 점을 이해한다"며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이 교육 안전망을 더 촘촘히 보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