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강제동원 광산' 日, 세계유산 시도…또 흔적 지우기

<앵커>

이렇게 약속을 지키지 않는 일본이 또 다른 강제동원 현장을 세계유산에 등재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강제동원 흔적을 지우려는 일본의 꼼수에 이번에는 대응을 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임상범 기자입니다.

<기자>

군함도에 갇혀 강제노역에 시달렸던 고 김삼수 옹.

[故 김삼수 옹(2019년 봄) : 일 안 하면 두드려 패고, 그놈들이 일본 사람은 좋은 약을 해 주고, 조선 사람은 좋은 약도 안 해주고… 사람을 때려죽여도 그만이라 거기는.]

간신히 군함도를 벗어났지만, 나가사키 원폭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故 김삼수 옹(2019년 봄) : '불쌍하다, 육지에라도, 나가사키에 내가 보내주겠다'고 (했어요.) 그때 돈 1만 원씩 주고 (탈출했지)…. 아이고 세상 참!]

이렇게 생생한 증언과 증거 앞에서도 일본은 강제동원 역사를 함께 기록하겠다던 유네스코 등재 당시 약속을 저버리고 있습니다.

정부는 등재 취소를 포함해 일본의 약속 이행을 압박하라고 유네스코에 촉구했지만, 그 이상 뾰족한 대응책이 없는 실정입니다.

규정상으로는 가능하다지만, 등재한 나라 스스로 요구했을 때 말고는 등재 취소 전례도 없습니다.

더구나 일본은 유네스코 최대 공여국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은 니가타현 사도 광산에 대해서도 2022년을 목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도 광산에서 강제노역에 동원됐던 한인 피해자는 1천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자들이 명부 등을 발굴해 148명의 신원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도 일본은 금을 주제로 한 광산 유적이라며 강제동원의 흔적 지우기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정혜경/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 에도시대의 사도 광산을 등재하나 보다 생각하실 텐데 강제동원 시절에 다 사용됐던 현장이에요. 그런 것들을 이해하기 어렵게 포장이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군함도 등재 당시의 속수무책, 뒷북 대응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국제 연대와 여론전이 필요한데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은 전혀 감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자료제공 :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영상취재 : 한일상, 영상편집 : 유미라)  

▶ '군함도 강제동원' 입 싹 닫은 日…아베가 56억 퍼줬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