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포토뉴스] 발언보다 강력한 한방…여야의 '백드롭' 티키타카

[포토뉴스] 발언보다 강력한 한방…여야의 '백드롭' 티키타카
▲ 8월 14일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헌법 제1조 문구 중에서 긍정적 의미의 '민주공화국'을 통합당 상징인 핑크색으로 쓴 백드롭.

여야 각 당의 '말 없는 대변인'이 있습니다. 언론사 카메라가 모여드는 각 정당 회의실 벽면에 붙어있는 현수막인데요. '백드롭'이라고도 부릅니다. 아침마다 정당 지도부의 공개 발언과 함께 백드롭에 적힌 문구는 언론을 통해 국민들에게 노출되곤 합니다.

최근 미래통합당 백드롭이 신선한 아이디어로 센스 있게 정치 공세를 펼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과거 새누리당이나 자유한국당 시절의 '노 잼(재미없음)' 이미지를 털어버리고 있다는 건데요.

과거 야당 시절 날카로운 한 마디 문구나 신선한 아이디어를 선보였던 더불어민주당은 이제는 집권 여당답게 진중하면서 책임감을 강조하는 점잖은 백드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포토뉴스]에서는 최근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백드롭에 숨겨진 깨알 포인트를 살펴봅니다.

◆ 파격적 발상의 전환

"어, 여기 더불어민주당 회의실인가?" 확 달라진 통합당의 백드롭을 한방에 각인시킨 사진이죠. 백드롭 전체에 민주당 색깔을 쓴 통합당의 파격적 실험은 꽤 성공적이란 평가를 받았습니다.
▲ 7월 20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의
파란색 백보드 안에 쓰인 문구는 17일 민주당 진성준 의원이 한 토론 프로그램 말미에 마이크가 켜져 있는 줄 모르고 한 말을 그대로 쓴 건데요. 그간 통합당이 줄기차게 정부와 여당의 부동산을 비판해왔던 멘트나 성명보다, 이 백드롭 한 컷이 더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이 백드롭을 기획한 김수민 통합당 홍보본부장은 "민주당에 고발당할 수도 있다는 걸 전날까지 고민하며 지도부와 상의했는데, 김종인 위원장과 김선동 사무총장이 좋은 아이디어라고 하자고 했다"고 후일담을 전했습니다.

◆ 색깔 공세도 달라졌다?

종북좌파, 수구우파 등 과거 여야는 정치적 이념을 나누는 적나라한 문구로 색깔공세를 펴곤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엔 진짜 '색깔'을 공세에 활용하고 있는데요.
▲ 6월 1일 21대 국회 첫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직전 회의실
21대 국회 들어서서 지난 6월 1일부터 지금까지 더불어민주당이 사용하고 있는 백드롭입니다. 코로나라는 부정적 단어만 핑크색으로 썼는데요. 미래통합당의 상징색인 핑크색을 부정적 어휘에다 쓴 겁니다.
▲ 8월 10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민주당은 핑크색으로 쓴 부정적 단어인 '코로나' 극복과 더불어 '일하는 국회', '경제위기 극복' 같은 집권여당의 책임정치를 강조하는 절제된 문구를 지속적으로 노출하고 있습니다.
▲ 3월 11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
지난 총선 전까지 쓰던 민주당 백드롭입니다. 이때도 부정적 단어인 '코로나전쟁'에는 핑크색을 썼습니다. 여기에 긍적적이고 희망적 단어인 '승리'는 민주당 상징색인 파란색을 써서 대비를 이뤘습니다.
▲ 7월 13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의
통합당도 파란색으로 쓴 '변화'보다 더 큰 핑크색의 '변화'라는 글자를 대비한 백드롭을 선보였는데요. 민주당보다 더 큰 변화를 이루겠다는 의지의 표명으로 해석됩니다.
▲ 7월 7일 미래통합당 부동산정책 긴급 간담회
정부 여당의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기 위한 간담회 백드롭에서도 '내 집 마련'과 '꿈'이라는 긍정과 희망의 단어에 핑크색을 활용했습니다.

◆ 속도감 있는 이슈 대응 '타이밍'

민주당에 비해 최근 통합당의 백드롭이 회자되는 이유 중 하나는 '타이밍'입니다. 6월부터 석 달째 '일하는 국회, 코로나·경제위기 극복' 한 종류의 백드롭을 쓰고 있는 민주당에 비해, 통합당은 7월 이후 최근 한 달여 동안 8번 백드롭을 교체했습니다.

앞서 전해드린 진성준 의원 발언을 인용한 백드롭처럼 민주당 인사들의 말실수나 실책이 나오면 즉각 백드롭에 반영하는 '기동성'을 발휘한 겁니다.
▲ 8월 3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회의
"감당할 수 있겠습니까" 백드롭은 7월 30일에 첫 선을 보였는데요. 이날 부동산 법안을 강행처리한 민주당이 후폭풍을 감당할 수 있겠냐는 의미였다고 하고요.

▲ 7월 27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의
이해찬 민주당 대표의 '천박한 도시 서울' 발언이 논란을 일으킨 지 사흘 만에 나온 백드롭 문구는 '의문의 1패'라는 젊은이들의 언어를 사용한 것도 눈에 띕니다.

◆ 일관된 콘셉트를 잡아라

통합당의 백드롭 변화는 지난 6월 29일 임명된 김수민 홍보본부장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김수민 본부장은 '허니버터칩' 포장으로 유명한 디자인 전문가이자 20대 국회의원이죠. 김 본부장은 "7월에 선보인 백드롭은 '국민의 질문' 시리즈로 콘셉트를 잡았다"고 했습니다.
▲ 7월 16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의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 사건과 백선엽 장군 안장 논란, 채널A 기자 강요미수 의혹 사건에 대한 법무장관과 검찰총장의 대립 등에 대해 통합당은 "국민들이 지금 이 나라에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거냐"고 묻고 있다는 백드롭 문구를 뽑았습니다.
▲ 7월 24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의
▲ 8월10일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의
김수민 홍보본부장은 "8월에는 '우리의 할 일' 시리즈를 선보인다"고 전했습니다.

◆ 백드롭은 백드롭답게!

백드롭은 원래 각 정당이 전하고자 하는 핵심 이슈나 정책 어젠다를 담아왔습니다. 집권 여당인 민주당의 백드롭은 이런 본질적 기능에 충실한 모습인데요.
▲ 2019년 11월 더불어민주당 백드롭
민주당은 지난해 정기국회부터 검찰개혁 같은 '개혁입법'의 완성을 강조하는 간결한 백드롭 흐름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 2018년 4월 더불어민주당 백드롭
지난 20대 국회에서 장외투쟁으로 일관하며 국회를 비웠던 자유한국당을 향해 '일하는 국회' 메시지를 백드롭에 담아냈습니다.

◆ '셀프 디스'라도 좋다, 눈길만 끌 수 있다면…

통합당 전신인 새누리당이나 자유한국당 시절 백드롭은 선언적이고 계도적인 메시지가 많아서 크게 눈길을 끌지 못했습니다. 그 중에 회자됐던 것이 스스로 과오를 지적했던 이른바 '셀프 디스'였는데요.
▲ 2018년 4월 자유한국당 백드롭
지난 2018년 김성태 원내대표 시절에 "우리도 그래서 망했다"는 백드롭이 있었죠. 당시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진상조사를 요구하며 선보인 문구인데요. "밋밋한 문구로는 안된다"는 김성태 대표의 아이디어였다고 합니다.
▲ 2016년 2월 새누리당 백드롭
새누리당 시절에는 SNS를 통해 국민들의 쓴소리를 모아서 백드롭을 만들기도 했는데요. 당시 댓글 중에 가장 신랄하게 비판한 문장들을 추려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 백드롭을 선보인지 한 달여 뒤에 20대 총선에서 참패를 했고, 그 해 연말 '국정농단' 사건으로 대통령 탄핵에 이르게 됐습니다.

백드롭에 담긴 내용을 보여주는 데 머무를 것이 아니라, 실질적 변화와 실천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포토뉴스'입니다.

(사진=연합뉴스, SBS뉴스 영상 캡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