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상반기 재정적자 111조 '역대 최대'…세금 23조 덜 걷혀

상반기 재정적자 111조 '역대 최대'…세금 23조 덜 걷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 지출은 늘어난 반면 세금은 작년보다 덜 걷히면서 올해 상반기 나라살림 적자가 역대 최대인 111조 원에 육박했습니다.

기획재정부가 오늘(11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에 따르면 올해 1∼6월 총수입(226조 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조1천억 원 줄고 총지출(316조 원)은 31조4천억 원 증가해 수지 적자폭이 커졌습니다.

총수입 감소는 국세 수입이 크게 줄어든 결과입니다.

국세 수입이 132조9천억 원으로 작년보다 23조3천억 원 감소했습니다.

정부가 올해 1년간 걷으려는 세금 목표액 중 실제 걷은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인 세수 진도율(2차 추가경정예산 기준)은 45.7%로 지난해(53.2%)보다 7.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세목별 진도율을 보면 소득세(40조9천억 원)가 46.2%, 법인세(29조3천억 원)가 45.5%, 부가세(31조 원)는 45.2% 등이었습니다.

6월 한달만 따지면 국세 수입은 14조7천억 원으로 작년 6월보다 1조9천억 원 줄었습니다.

소득세(4조2천억 원)는 2조8천억 원 감소했는데 종합소득세 세정지원 효과(-2조5천억 원), 근로장려금 반기 지급 시작(-6천억 원) 영향이 컸습니다.

부가세(1조8천억 원)도 8천억 원 줄었습니다.

수입 감소와 정유사 세정 지원(-3천억 원) 등에 따른 것입니다.

반면 법인세(3조1천억 원)는 4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5월 연결법인세 분납분의 6월 귀속(+1조1천억 원), 세정 지원에 따른 납기연장분 중 일부 납부(+2천억 원)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종합부동산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등 기타 국세(3조1천억 원)도 8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이중 종부세는 분납기한이 2월에서 6월로 변경되면서 6천억 원이 더 걷혔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상반기 코로나19 세정 지원에 따른 납기 연장(-11조3천억 원), 2019년 하반기 근로장려금 신청분 지급(-6천억 원)을 감안하면 실제 1~6월 누계 세수는 전년보다 11조4천억 원 감소했고, 6월 세수는 7천억 원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상반기 세수 감소분 중 11조9천억 원, 6월 세수 감소분 중 1조2천억 원은 일시적 요인이라는 것입니다.

상반기 세외수입(13조1천억 원)은 9천억 원 줄었습니다.

기금 수입(79조9천억 원)은 4조1천억 원 늘었습니다.

이처럼 총수입은 줄고 총지출은 늘면서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상반기 통합재정수지 적자는 90조 원으로 늘었습니다.

작년 상반기보다 적자폭이 51조5천억 원 커졌습니다.

적자폭이 지난 1~5월 60조 원대에서 크게 뛰었습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빼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상반기 110조5천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적자폭이 51조 원 커졌습니다.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올해 들어 매달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하고 있습니다.

6월까지 통합재정수지와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컸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