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긴 장마로 배추 · 무 가격 '들썩'…정부, 수급 안정대책 추진

긴 장마로 배추 · 무 가격 '들썩'…정부, 수급 안정대책 추진
48일째 이어지는 장마로 무·배추 등 일부 농산물 가격이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정부가 수급 안정대책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추석과 김장철을 앞두고 농산물 가격이 불안정해지자 배추와 무, 상추, 애호박, 깻잎 등 소비가 많고 민생에 밀접한 주요 농산물을 중심으로 수급 안정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배추와 무는 주산지인 강원도 태백, 평창, 정선 등은 호우 피해가 크지 않은 편이지만, 재배 면적이 줄어 가격이 평년보다 높게 형성돼 작업 여건에 따라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배추 도매가격은 지난 6월 포기당 2천472원에서 7월 3천474원, 8월 1∼6일 3천907원으로 꾸준히 올랐습니다.

무 도매가격은 6월 개당 1천165원에서 7월 1천132원으로 소폭 내렸다 이달들어 1천248원으로 다시 상승했습니다.

농식품부는 장마가 길어지면서 김장철 배추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일부 우려도 있지만, 김장철 배추를 심는 시점은 8월 말 이후이고 올해 가을 배추 재배 의향 면적도 평년보다 4% 증가할 것으로 예측돼 김장배추 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날씨에 따라 작황 변동이 심한 얼갈이배추와 상추, 애호박 등 시설채소는 집중호우와 일조량 부족 등으로 공급이 줄어 시세가 높게 형성돼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현재의 수급 불안과 가격 상승은 기록적 장마 영향 등에 따른 일시적 수급 불안에 기인한 측면이 강하다"며 "생육 기간이 짧고 출하 회복이 빨라 장마가 끝나고 2∼3주 내에 수급이 안정될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