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빅터 차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비핵화 협상에 포함돼야"

빅터 차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비핵화 협상에 포함돼야"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5일(현지시간) 북한의 우라늄 농축원료 공급원인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과 관련, 그동안 북미 비핵화 협상에서 초점을 맞추지 않았지만 이곳이 협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차 석좌는 CSIS가 화상으로 진행한 언론 브리핑에서 평산 정련공장 등 북한의 핵 관련 시설 및 활동에 관한 최근 위성사진과 영상이 담긴 새로운 고화질 동영상 일부를 공개하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이 공장이 오랫동안 존재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이 진정으로 모든 핵무기를 포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정책적 맥락에서 더 중요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평산 공장이 북미 협상의 일부로 논의됐는지는 알지 못한다면서 "그러나 그것은 (북한 핵)프로그램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 시설 없이는 플루토늄이나 우라늄을 생산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비무장지대(DMZ)에서 45㎞ 떨어진 평산 공장은 박천 우라늄 공장을 대체한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에서 알려진 유일한 우라늄 정광(옐로케이크·우라늄 농축원료) 생산시설로, 북한의 핵 연구와 무기 개발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요소로 평가됩니다.

앞서 CSIS의 차 석좌와 조지프 버뮤데즈 연구원은 5월 평산 공장 일대를 찍은 상업용 위성사진을 토대로 2017년 이후 북한 핵실험이 없었지만, 이 공장이 가동 상태를 유지하며 업데이트되고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이들은 당시 "평산 우라늄 정련 공장의 해체는 북미 간에 향후 어떤 의미 있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 합의에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차 석좌는 대북 협상 방향과 관련, "큰 문제들 중 하나는 이런 외교를 계속할 것인지, 아니면 봉쇄 전략으로 갈 것인지, 아니면 위협 감소 전략으로 갈 것인지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사진=CSIS 행사 웹사이트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