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법원 "벌목 업무, 경찰관·소방관과 비슷한 위험 직무"

법원 "벌목 업무, 경찰관·소방관과 비슷한 위험 직무"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돼 벌목 업무를 담당한 공무원이 사고로 사망했다면, 경찰관이나 소방관처럼 '위험직무 순직'을 인정해줘야 한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장낙원 부장판사)는 최근 A 씨의 아내가 인사혁신처장을 상대로 "위험직무 순직 유족급여를 지급해달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경남지역 한 시청의 기간제 근로자로 산림 정비 업무를 담당한 A 씨는 2017년 9월 지역 휴양림의 고사목을 벌목하던 중 쓰러지는 고사목 토막에 머리를 맞고 숨졌습니다.

인사혁신처는 A 씨의 사망을 순직이라고 인정했지만, 위험직무 순직으로는 인정하지 않았고 이에 A씨의 아내가 소송을 낸 것입니다.

공무원 재해보상법은 생명과 신체에 대한 고도의 위험을 무릅쓰고 직무를 수행하다가 입은 재해가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일 경우 위험직무 순직으로 인정합니다.

이 경우 일반 순직보다 높은 유족보상금과 연금이 지급됩니다.

공무원연금법은 경찰관이 범인을 체포하다가 입은 위해, 특공대원이 대테러작전 수행 중 입은 위해, 소방관이 재난·재해 현장에서 입은 위해 등을 위험직무로 열거합니다.

재판부는 비록 공무원연금법에 열거돼 있지는 않지만, 벌목 업무 역시 위험직무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근거로 임업의 산재 발생률이나 사망률이 다른 위험직무 못지않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2017년 임업의 산재 발생률은 1.36%로 같은 해 경찰공무원의 1.29%, 소방공무원의 1.3%와 비슷했습니다.

같은 해 전체 산업의 산재 발생률은 0.48%였습니다.

사망률(순직률)도 임업 0.019%, 경찰 0.014%, 소방 0.004%로 집계됐습니다.

재판부는 "공무원연금법이 경찰·소방 공무원 등의 직무 중 일부 직무만을 특정해 한정하지만, A 씨가 수행한 벌목업무도 임업에 속하는 업무 중에는 특히 위험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공무원연금법에 열거된 직무들과 비교하더라도 '업무수행자의 생명·신체에 위험을 발생케 할 가능성'은 유사하거나 벌목업무가 조금 더 높은 수준"이라고 봤습니다.

이 판결은 절차적으로 인사혁신처가 항소하지 않아 확정됐습니다.

(사진=산림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