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페이스북·구글·트위터, 홍콩에 이용자 정보 제공 중단

페이스북·구글·트위터, 홍콩에 이용자 정보 제공 중단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이 발효된 가운데 페이스북과 구글, 트위터 등이 홍콩 정부에 이용자 정보를 더 제공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현지시간 6일 성명을 내고 홍콩 정부와 법 집행기관의 요청이 있더라도 페이스북과 자회사인 모바일 메신저 왓츠앱의 이용자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페이스북은 중국이 제정한 홍콩보안법에 대한 추가 평가를 마칠 때까지 중단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인권에 대해 전문가들과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결정한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페이스북은 "우리는 표현의 자유가 인간의 근본적인 권리라는 것을 확신하며, 사람들이 불안해하거나 두려움에 떨지 않고 자신의 견해를 표출할 수 있는 권리를 지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구글과 트위터, 왓츠앱도 홍콩 정부의 자료 제공 요청에 대한 검토 작업을 중단했다고 밝혔습니다.

트위터는 홍콩보안법이 미칠 영향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말했습니다.

구글은 지난해 홍콩 정부가 105차례에 걸쳐 사용자 정보를 요청했다면서 특정 콘텐츠 삭제 요청에 대해서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검토작업을 거쳐 수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모바일 메신저인 텔레그램도 성명을 통해 이용자 관련 어떤 자료도 홍콩 정부에 제공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운영하는 줌비디오커뮤니케이션(이하 줌비디오), 채용전문 소셜미디어 링크드인(LinkdIn)도 정보 공개 중단 행렬에 동참했습니다.

인권단체들은 IT 기업들의 움직임에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중국 당국은 페이스북 등 SNS 기업들의 이용자 정보 제공 중단 결정에 대해, 홍콩보안법으로 인해 달라질 것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홍콩보안법이 통과된 이후 일국양제의 근간은 더 공고해졌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홍콩보안법은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엄중한 4대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극소수를 겨냥한 것"이라며 "절대다수의 홍콩 주민과 홍콩 주재 외국 기관은 법에 따라 권리를 누리고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가 제정, 지난 1일부터 시행된 홍콩보안법은 외국 세력과 결탁,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리즘 행위 등을 금지·처벌하고, 홍콩 내에 이를 집행할 기관을 설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9조와 10조는 '홍콩 정부는 국가안보를 위해 학교, 사회단체, 언론, 인터넷 등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고, 이들에 대한 선전·지도· 감독·관리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규정했습니다.

홍콩 경찰은 이를 근거로 포털 등이 제공하는 기사나 정보가 홍콩보안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할 경우 삭제를 요구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 등에서 소문을 퍼뜨리는 행위 등도 처벌할 수 있게 됐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