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 코로나에 다시 영토 봉쇄…"공중 · 해상서 오는 물체 소각"

북한, 코로나에 다시 영토 봉쇄…"공중 · 해상서 오는 물체 소각"
▲ 마스크를 낀 북한 평양시민

북한이 국경 완전 봉쇄를 강조하며 코로나19 방역사업의 고삐를 재차 조이는 모양새다.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은 7일 '방역 형세를 더욱 공고화하기 위한 대책들을 강구-국경과 영공, 영해 봉쇄 계속 강화' 제목의 기사에서 "(중앙비상방역) 지휘부에서는 국경과 영공, 영해를 완전 봉쇄하고… 국경과 해안 연선에 대한 봉쇄와 집중감시를 더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책을 세워나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해상에서 밀려 들어오거나 공중에서 날아오는 물체 등을 발견하는 경우 방역규범의 요구대로 제해소독하거나 소각 처리하는 규율과 질서를 더 엄격히 세워나가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남측 탈북민 단체의 풍선과 페트병을 이용한 대북전단 살포를 염두에 둔 조치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북한은 대북전단이 방역사업에 장애가 된다고 수차례 비판한 바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규율이 풀어지는 것도 경계했습니다.

신문은 "방역사업에서 첫째가는 적은 자만과 해이"라며 "비상방역사업이 장기성을 띠게 되면서 일군(간부)들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방심과 방관, 만성화된 현상, 비상 방역규율 위반 현상을 근절하기 위한 교양사업 도수를 더 높여나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지난 1월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하자 곧장 국경 봉쇄라는 초강수를 뒀지만, 최근 들어 차츰 봉쇄조치가 느슨해지는 모양새가 관찰됐습니다.

대북소식통은 지난 3월과 4월 북중 접경지역에서 화물차나 열차가 오가는 모습이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지난달 15일에는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교각에 트럭 16대가 대기 중인 모습이 38노스에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코로나19를 다시금 경계하는 모습입니다.

북한은 이달 2일 김정은 위원장 주재로 열린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지난 6개월간의 코로나19 대응 상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가비상방역을 더 강화하기 위한 결정서 초안을 채택했습니다.

이번 국경 완전 봉쇄 강화조치 역시 정치국 확대회의의 결정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사진=조선의오늘 동영상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