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성과 택한 文, 대북 전문가 '총동원'…남북관계 돌파구 될까

<앵커>

이번 인사는 지금 정부에서 북한과 미국을 담당해 온 기존 주역들은 물론 과거 햇볕정책을 추진했던 김대중 정부의 역량까지, 그야말로 쓸 수 있는 모든 인적 자원을 총동원했다는 평가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 어떻게든 성과를 내겠다는 의지를 밝힌 거라는 해석입니다.

김정윤 기자입니다.

<기자>

여당 원내대표 출신 통일부 장관과 김대중 정부 '햇볕정책 전도사'로 불렸던 국정원장, 여기에, 지난 3년 동안 남북미 대화의 산파 역할을 했던 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이 외교 안보 '삼각 편대'에,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정의용 현 안보실장이 필요할 때 '조커' 역할을 할 수 있는 외교안보 '특보'로 배치됐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입장에서는 한반도 정책의 전진을 위해 가용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을 사실상 총동원한다고 봐도 무리가 아닙니다.

이제 임기가 2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남북미 관계의 '상황 관리'에 무게를 둘 거냐, 아니면, 다시 시동을 걸어 '성과'를 내려할 거냐, 갈림길에 섰다는 분석이 많았는데,

[문정인/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 (지난 1일) : 남은 임기 중에 대통령께서 어떤 식의 정책 노선을 채택하느냐 하고, 이번 인사하고는 연관이 돼 있다고 봅니다.]

이번 인사는 '성과'에 방점을 찍은 겁니다.

특히 새 진용은 대체로 김정일, 김정은, 두 북한 최고 권력자를 상대로 한 '남북 협상의 막전막후'를 잘 아는 인사들이란 점에서, 그 자체로 대북 메시지인 셈입니다.

문 대통령이 오는 11월 미국 대선 전에 북미 정상회담이 한 번 더 필요하다는 제안까지 던지며, 다시금 중재자·촉진자 역할을 해보겠다고 나선 상황.

관건은 새 진용이 얼마나 빨리, 또 구속력 있게 북한과 미국을 설득할 수 있느냐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