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유엔 안보리, '코로나 휴전' 촉구 결의안 석달만에 늑장처리

유엔 안보리, '코로나 휴전' 촉구 결의안 석달만에 늑장처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전세계적으로 무력분쟁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프랑스와 튀니지가 초안을 작성한 이 결의안은 코로나19에 따른 인도주의적 원조를 위해 "모든 무장 분쟁 당사자들에게 최소 90일 연속으로 지속적이고 인도적인 휴전에 즉각 나설 것"을 촉구한다.

이 결의안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관해 안보리가 채택한 첫 번째 성명이자 첫 실질적 조치라고 AFP통신이 전했다.

다만 결의안 채택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 3월23일 "총성과 포격, 공습을 멈추고 구호를 위한 회랑을 만들고 외교의 창을 열어야 한다"며 '코로나19 휴전'을 공식 촉구한 지 3개월 넘은 시점에서 겨우 이뤄진 것이다.

안보리에서 결의안 채택이 늦어진 것은 결의안에 세계보건기구(WHO)를 언급할지 말지를 놓고 미국과 중국이 팽팽히 맞섰기 때문이었다.

코로나19 사태에서 WHO가 제 역할을 못 하고 중국 편향적이었다는 이유로 예산 지원까지 중단한 미국이 결의안에서 WHO 언급을 반대한 반면, 중국은 WHO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결국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인도네시아의 중재로 미중은 결의안에 WHO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대신 WHO에 대한 지지 약속을 담은 유엔 총회 결의안을 간접 언급하는 것으로 타협을 봤다.

결의안 늑장 채택 사태에 대한 전문가들의 시선은 따갑다.

싱크탱크 국제위기그룹(ICG)의 리처드 고완은 AFP와 로이터 통신에 "휴전 요구가 실제로 다수의 전쟁 지역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할 가능성은 낮다"며 "안보리는 4월이나 5월에 사무총장의 휴전 촉구를 뒷받침할 기회를 놓쳤다. 안보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