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 "평양시민 '주택·물·채소' 문제 해결"…중대 결정 채택

북 "평양시민 '주택·물·채소' 문제 해결"…중대 결정 채택
북한 내각이 수도 평양 시민들에게 양질의 주거환경과 생활용수, 채소를 제공하기 위한 중대 결정을 채택했습니다.

오늘(27일)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은 내각이 전원회의 확대회의를 열어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회의 결정서에 제시된 과업을 철저히 관철할 데 대한 문제를 토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확한 회의 날짜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회의 보고를 맡은 김재룡 내각 총리는 지난 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한 정치국 회의에서 제시된 평양시민 생활보장 안건을 부문별로 점검했습니다.

지난 8일 조선중앙통신은 "수도 시민들의 생활보장에서 나서는 당면한 문제들이 토의됐다"고 보도하면서 구체적인 내용은 전하지 않았는데 이번에 이를 구체화한 겁니다.

먼저 참석자들은 "건설을 완공하지 못한 살림집들의 미진된 공사를 올해 말까지 무조건 끝내며 불비한 살림집들에 대한 보수를 책임적으로 해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오래된 집에 대한 개건 계획도 연차별로 세우기로 했습니다.

300만 인구의 평양에 깨끗한 생활용수를 보급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됐습니다.

신문은 "평양시인민위원회에서 몇 달 어간에 심하게 파괴된 옥내 상수관 교체 공사를 힘있게 추진하며 수원지들과 상수시설들의 실태를 전반적으로 요해(파악)하고 불비한 설비들과 미흡한 개소들을 단계별로 퇴치하여 물 보장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고 전했습니다.

채소 생산을 늘리기 위해서는 양수장 수십 개소를 건설, 관수 체계를 복구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국가계획위원회와 농업성, 건설건재공업성, 기계공업성, 금속공업성 등 관계부처가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농업성 등 관계부처들은 채소 수송과 가공·포장·공급 사업을 책임적으로 해 시민들에게 신선한 채소와 가공품을 보장할 수 있게 해당 기관들에서 필요한 보장 사업을 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이 평양 시민들의 주거문제부터 먹거리까지 생활 여건을 세심히 살피는 것은 코로나19 사태와 대북제재 장기화로 경제난이 심화하면서 민심 동요를 막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이번 회의에서는 화학공업 발전 방안도 논의됐습니다.

석유 대신 북한에 풍부한 석탄을 원료로 활용하는 '탄소하나(C1) 화학공업' 문제와 국산 원료를 활용한 '칼륨비료공업' 창설 문제를 다뤘습니다.

북한이 화학공업 발전에 힘을 쏟는 것은 비료 생산을 늘려 먹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달 평안남도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데 이어 이달 김재룡 내각 총리,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등이 탄소하나화학공업 창설을 위한 공사장 여러 곳을 현지지도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북한이 내각 전원회의 확대회의를 연 것은 지난 2월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

화상으로 진행된 이번 회의에는 내각 직속 기관 책임 간부들, 도 인민위원장, 화학공업과 평양시 주민 생활과 연관된 단위 간부들, 주요 공장·기업소 지배인 등이 방청했습니다.

(사진=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