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분기 가계빚, 가처분소득의 163%…통계 집계 이래 최고

1분기 가계빚, 가처분소득의 163%…통계 집계 이래 최고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자금 수요와 주택담보대출 증가, 소득 증가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가계뿐 아니라 기업까지 포함한 민간 부문의 빚도 국내총생산(GDP)의 2배를 처음 넘어섰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4일) 공개한 '2020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말 기준 가계 부채는 1천611조 원으로 작년 1분기보다 4.6% 늘었습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율이 5.7%로 전체 부채 확대를 이끌었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전체 가계부채와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2019년 4분기 이후 커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처럼 빚은 늘어나는데 소득은 더디게 증가하면서 가계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1분기 말 현재 163.1%로,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7년 1분기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1분기 비율은 직전 분기(162.3%)와 작년 1분기(158.6%)보다 0.8%포인트, 4.5%포인트 각각 높습니다.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47.7%)도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0.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기업 대출은 1분기 말 현재 1천229조 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11.6% 늘었습니다.

이런 가계·기업 부채 증가 추세에 따라 민간(가계+기업) 신용의 명목 GDP 대비 비율도 1분기말 201.1%까지 올랐습니다.

작년 동기보다 12.3%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200%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런 대출 확대에도 은행의 자산건전성과 복원력은 아직 양호한 수준이라고 한은은 평가했습니다.

일반은행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1분기 말 현재 0.46%로 작년 동기보다 0.09%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바젤Ⅲ 기준 총자본비율(15.3%)도 작년 말(15.89%)보다는 낮아졌지만, 모든 은행이 규제기준을 크게 웃돈다고 한은은 설명했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충격으로 향후 기업·가계 채무상환 능력 저하가 어느 정도 불가피하겠지만, 각종 대책과 금융기관의 양호한 복원력을 고려할 때 금융시스템은 대체로 안정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만 한은은 "정책당국은 금융기관의 대규모 손실에 따른 금융중개기능 저하, 금융·실물간 악순환 등에 대비해 주요 리스크(위험) 요인들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아울러 한은은 스스로 대내외 리스크 상시 모니터링(감시)을 강화하고 신용경색이 심해지면 '최종 대부자'로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