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K TV 대체 누가 사?" 4년 뒤에도 점유율 1%

"8K TV 대체 누가 사?" 4년 뒤에도 점유율 1%
가로 약 8천개 픽셀을 갖춘 초고화질 TV, 차세대 프리미엄 TV로 불리는 8K TV가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전망이 나왔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IT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 세계 TV 시장에서 8K TV의 판매량 기준 점유율이 0.1%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내년에는 0.3%, 이후에도 0%대 점유율을 이어가다 2024년이 돼서야 점유율 1%를 겨우 넘어설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작년 1분기 발표된 옴디아 보고서와 비교하면 8K TV 전망치는 1년 만에 대폭 하향조정됐다.

8K TV 판매량 전망치는 작년 85만4천대에서 올해 25만대로 70% 이상 줄어들었다.

전체 TV 판매량 전망치는 같은 기간 12%가량 감소했다.

국내 TV 시장만 보면 8K TV의 존재감은 더욱더 미미하다.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국내 8K TV 판매량은 약 3천700대를 기록해 점유율이 0.1%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오는 2024년까지도 점유율은 0.6% 미만에 그치며 5년 내내 0%대 점유율을 이어갈 것으로 예측됐다.

8K TV의 바로 전 단계에 속하는 4K TV도 오는 2023년이 되어서야 점유율 50%를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다.

가전 업계 관계자는 "8K 콘텐츠와 관련 인프라 부재로 8K TV 시장 확장세가 더디다"며 "실제 수요도 아직은 4K TV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8K가 아직은 TV 업체들의 기술력 과시용 도구로 사용되는 데 그치고 있다고 본다.

국내 대표 TV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8K QLED TV, 8K OLED TV 신제품을 앞다퉈 출시했다.

지난해 9월에는 삼성과 LG 간 8K 화질 공방이 벌어지며 관련 기술 표준이 주목 받았고, 올해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에선 글로벌 TV 업체 상당수가 8K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TV 업계 과열 경쟁으로 8K가 주력 제품이 된 것처럼 보이지만 최소 5∼6년은 지나야 8K 시대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