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 워싱턴DC 배치 주방위군 철수 명령…심장부 긴장 풀리나

트럼프, 워싱턴DC 배치 주방위군 철수 명령…심장부 긴장 풀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시위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수도 워싱턴DC에 배치됐던 주 방위군에 대한 철수를 지시했다.

앞서 지난 5일 미 워싱턴DC 인근에 집결했던 연방군 병력의 원대복귀 돌입에 이어 주 방위군도 철수 절차에 돌입함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의 '군 동원' 방침 예고로 고조됐던 미국 수도의 긴장이 평화 시위 정착 분위기와 맞물려 상당 부분 완화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모든 것이 완전한 통제 하에 있는 만큼, 나는 방금 우리의 주 방위군에 대해 워싱턴DC에서 철수하는 절차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집으로 돌아갈 것"이라며 "그러나 필요하면 신속하게 돌아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주말인 전날 시위 상황과 관련, "지난밤 예상됐던 것보다 훨씬 더 적은 시위대가 나타났다"고 거듭 주장했다.

앞서 워싱턴DC 주 방위군 윌리엄 워커 사령관은 전날 CNN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국방부의 요청으로 11개 주에서 파견된 주 방위군들이 이르면 8일 워싱턴을 떠난다"고 밝힌 바 있다.

워커 사령관의 인터뷰와 관련, CNN은 철수 규모가 대략 3천900여명에 달한다며 "이들은 그간 병력 배치를 반대한 워싱턴DC 관리들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사이 갈등을 유발했다"고 전했다.

앞서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의 요청으로 10개 주에서 4천500여명의 주 방위군이 워싱턴DC에 배치됐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지프 렝겔 주방위군 사령관은 지난 2일 전국적으로 1만8천명의 주 방위군 병력이 현재 29개 주(州)에서 지역 내 법 집행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이라크,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등 3곳에 파견된 병력에 맞먹는 수준으로 전해졌다.

시위 격화에 대비해 워싱턴DC 인근에 대기하고 있던 군 병력도 에스퍼 장관의 지시로 복귀 작업을 시작한 상태이다.

라이언 매카시 미 육군장관은 지난 5일 워싱턴DC 인근에 배치된 약 500명의 병력이 원래 있던 기지로 귀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매카시 장관은 여전히 일부 병력은 워싱턴DC 인근에서 경계태세 상태라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주방위군 철수 결정은 평화 시위가 자리잡는 분위기에 더해 강경대응을 둘러싼 논란에 대한 여론의 부담도 감안한 조치로 보인다.

뮤리얼 바우저 워싱턴DC 시장도 병력 철수를 계속해서 요구해왔다.

주 방위군의 철수절차 본격 돌입으로 국방수장 항명 사태로까지 빚어졌던 군 동원 문제가 일단락될지 주목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주 정부가 너무 약하게 대응한다는 불만을 표시하며 주지사가 주 방위군을 동원하지 않으면 대통령 권한을 활용해 자신이 직접 군대를 배치하겠다면서 시위 진압을 위한 군 동원이라는 강경 대응 방침을 천명했다.

에스퍼 장관은 이로부터 이틀 뒤인 지난 3일 브리핑을 통해 폭동진압법 발동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었고, 제임스 매티스 전 국방장관도 "분열을 부추긴다"며 공개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시위 대응을 비판하는 등 이번 사태는 트럼프 대통령과 군 인사 간 정면충돌 양상을 빚으며 파문을 일으켰다.

역풍에 직면한 트럼프 대통령은 에스퍼 장관의 기자회견이 있던 날 한 언론 인터뷰에서 군 동원은 상황에 달려 있으며 꼭 그래야 한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언급, '군 동원 경고'에서 한발 물러서는 듯한 모양새를 취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