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장하성 주중대사 "중국과 한중 항공편 증편 협의 중"

장하성 주중대사 "중국과 한중 항공편 증편 협의 중"
▲ 장하성 주중 한국 대사

코로나19 확산 후 거의 끊기다시피 한 한국과 중국 간의 항공편을 늘리기 위해 한중 양국이 협의 중이라고 장하성 주중 한국 대사가 25일 밝혔습니다.

장 대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항공편이 워낙 제한돼 있는데 정기 항공편을 증편하는 것을 중국에 제안해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 문제를 놓고 중국 외교부와 논의하고 있으며 민항국에도 교섭을 제안해 협의 중이라면서 "결과가 언제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초기 반응은 부정적이지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한중 노선을 운항 중인 10개 항공사(한국 3개, 중국 7개)는 항공사당 1개 노선에서 주 1회씩만 운항 중입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해외 역유입을 막기 위해 지난 3월말 도입한 국제선 여객기 감축 조치에 따른 것입니다.

인천∼베이징 노선의 경우는 에어차이나(중국국제항공)만 주 1회 칭다오를 경유해 운항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은 각각 선양, 창춘, 웨이하이 노선을 운항합니다.

한중 노선 항공편 급감에 따라 항공권은 가격이 몇 배로 치솟았으며 그나마도 구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특히 중국이 외국인의 입국을 사실상 막고 있어 한국에 갔다가 중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교민이나 유학생이 많습니다.

장 대사는 "중국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끝나면 많은 부분이 정상화하지 않겠느냐 하는 기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에서도 오는 28일 양회가 막을 내린 뒤 6월에 비즈니스 여행부터 제한이 완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

장 대사는 이달부터 한중 양국이 시행한 기업인 입국절차 간소화(신속통로) 제도와 관련 시행 지역과 혜택 대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대기업 위주의) 전세기가 아닌 일반 항공편으로 중국에 입국한 사람은 아주 적었다"면서 "중소기업인들이 일반 항공편으로 입국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의 '신속통로' 시행 도시 10곳 가운데 절반은 현재 항공편이 없다면서 "항공편을 늘리는 방안이 성사되면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장 대사는 양국간 신속통로 제도가 앞으로 더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