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 주요 대학 모두 내년에 정시 확대…연고대 40% · 서울대 30%

서울 주요 대학 모두 내년에 정시 확대…연고대 40% · 서울대 30%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현 고교 2학년생이 내년에 치를 2022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의 정시모집 비율이 모두 30% 이상으로 올라갑니다.

고려대·연세대 등 학생들이 선호하는 이른바 '상위권 대학' 상당수가 정시 비율을 기존 20∼30% 수준에서 40% 안팎으로 늘립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전형위원회는 전국 198개 4년제 대학교의 '2022학년도 대입 전형 시행계획' 주요 사항을 오늘(29일) 발표했습니다.

예비 수험생과 학부모 입장에서는 서울 주요 대학의 정·수시 비율이 핵심 관심사입니다.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자녀의 입시 비리 의혹이 불거지자 교육부는 대입 공정성을 강화하겠다면서 "2023학년도까지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 비율을 40%로 늘리고, 이를 2022학년도에 최대한 조기 달성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건국대·경희대·고려대·광운대·동국대·서강대·서울대·서울시립대·서울여대·성균관대·숙명여대·숭실대·연세대·중앙대·한국외대·한양대 등 16개 대학이 정시 확대 대상이 됐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학종)과 논술로 45% 이상을 뽑아 '전형 비율이 불균형하다'고 판단된 대학들입니다.

16곳 중 9곳이 2022학년도에 '정시 40% 이상'을 확정했습니다.

건국대(40.0%)·고려대(40.1%)·동국대(40.0%)·서강대(40.6%)·서울시립대(40.4%)·서울여대(40.1%)·연세대(40.1%)·한국외대(42.4%)·한양대(40.1%) 등입니다.

경희대(37.0%)·광운대(35.0%)·서울대(30.1%)·성균관대(39.4%)·숙명여대(33.4%)·숭실대(37.0%)·중앙대(30.7%) 등 나머지 7곳도 정시를 늘리기로 했고, 모두 정시 비율을 30% 이상으로 했습니다.

16곳의 정시 비율 평균은 올해 29.6%에서 내년 37.9%로 늘어납니다.

학종 비율 평균은 올해 45.5%에서 내년 36.1%로 줄어듭니다.

2022학년도 4년제 대학 전체 모집 인원은 34만 6천553명으로 올해(2021학년도) 34만 7천447명보다 894명 줄어듭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 모집 인원을 감축한 영향입니다.

학종을 중심으로 한 수시모집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위주의 정시모집 비율은 4년제 대학 전체로 봤을 때 75.7%대 24.3%로 나타났습니다.

정시 비율이 올해(23.0%)보다 1.3%포인트 늘어나고, 수시 비율은 올해(77.0%)보다 1.3%포인트 줄어듭니다.

주요 대학들의 정시 비율이 40%에 가까워지는데 4년제 전체는 24.3%에 그치는 이유는 지방 대학의 정시 비율이 낮기 때문입니다.

정시 비율 평균이 수도권 대학은 32.3%, 지방 대학은 15.7%로 집계됐습니다.

선발 인원으로 보면 수시모집이 26만 2천378명, 정시모집이 8만 4천175명입니다.

올해와 비교했을 때 수시 선발 인원은 4천996명 줄고, 정시 선발은 4천102명 늡니다.

수시 선발 인원만 따로 보면 학종이 7만 9천503명, 학생부교과전형(내신 위주 전형)이 14만 8천506명입니다.

올해보다 학종 선발 인원은 6천580명 감소하고, 교과전형 인원은 1천582명 증가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한 '고른기회전형' 모집 인원은 5만 3천546명으로 올해보다 5천946명 늘어납니다.

대교협은 2022학년도부터 모든 대학이 고른기회전형을 운영하도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지역 인재의 지방거점대학 입학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지역인재전형' 선발 인원도 올해보다 4천262명 늘어나 2만 783명이 될 예정입니다.

올해보다 6곳 많은 92개 대학이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오늘 발표된 대입 전형 시행계획 주요 사항은 고등학교와 시·도 교육청에 책자로 배포됩니다.

7월부터는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www.adiga.kr)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