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방역당국 "코로나19 치료제 · 백신 개발 녹록지 않아"

방역당국 "코로나19 치료제 · 백신 개발 녹록지 않아"
방역당국이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긴장 태세를 유지해달라고 거듭 당부했습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오늘(25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리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대응에서 가장 큰 위험 신호는 방심"이라며 "치료제, 백신 개발이 녹록지 않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현재까지 치료 효과가 입증된 코로나19 치료제는 없다"고 강조한 뒤 "회복기 혈장 또는 일부 후보 치료제에 대한 부작용마저 지적되고 있어 방역당국으로서는 조금 실망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혈장 치료는 감염병에서 완치한 사람의 혈액에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가 형성된다는 점을 이용한 치료법입니다.

완치자의 혈액에서 중화항체 담긴 혈장을 분리해 마치 수혈하듯 환자에게 주입합니다.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신종 감염병 치료에 시도되지만, 의료계 일각에서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데다 큰 효과를 내지도 못하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더군다나 중화항체에 대해서도 풀리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방역당국에서 회복기 환자 25명을 조사한 결과 전원 중화항체가 생긴 것으로 확인됐지만 방어력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권 부본부장은 "중화항체가 방어력을 갖췄을 가능성이 높다고는 해도 어쨌든 확실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이 항체가 얼마나 지속할지, 감염이 된 후에 얼마나 형성되는지 등을 아직은 정확하게 알고 있지는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치료제나 백신 등을 조기에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사회적 거리 두기에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며 "지역사회에서 (신규 확진자 수가) 비록 몇 건에 불과하다고 해도 그것은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기존 약물의 적응증(치료 범위)을 코로나19로 확대하는 약물 재창출 연구 7건이 진행 중입니다.

기업이 주도하는 3종, 정부가 지원하는 4종 등입니다.

이와 별도로 국립보건연구원이 기업과 협업해 완치자 혈액 기반한 항체·혈장치료제 개발도 진행 중입니다.

이로써 국내에서는 약물 재창출과 항체·혈장 치료제 등을 모두 포함해 코로나19 치료제 20여 건이 연구 중입니다.

백신 연구는 10여 건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신과 관련해선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한편 민간기업에서 백신이 개발될 경우 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도 개발 중입니다.

방역당국은 어떠한 백신이 효과가 있을지 불확실하므로 핵산, 재조합 단백질,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 등 다양한 방식에 모두 가능성을 열어두고 민·관 협력 형태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