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韓 10대 수출품에 재진입한 '컴퓨터'…팬데믹 재택근무 영향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한국의 10대 수출품에 '컴퓨터'가 재진입했습니다.

PC, 노트북 등 컴퓨터 품목의 수출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퍼진 2월과 3월 80%대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며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년 만에 가장 커졌습니다.

23일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3월 한국의 총수출액은 1천308억700만달러 중 10대 상품 수출(718만3천만달러)이 차지하는 비중은 54.9%로 집계됐습니다.

반도체가 17.8%로 1위를 유지했고 자동차 6.9%, 석유제품 6.8%,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4.3%, 자동차부품 4.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해(연간 기준)와 비교하면 자동차와 석유제품의 순위는 같았으나 비중은 각각 1.0%포인트와 0.7%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자동차부품은 4위에서 5위,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는 5위에서 8위로 내려갔습니다.

이들 품목은 코로나19로 인해 수요가 줄고 생산·수급 등에 어려움을 겪으며 수출이 부진했습니다.

반면에 컴퓨터는 2018년 10위에서 2019년 10위권 밖으로 밀렸으나 올해 들어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의 확산에 힘입어 전체의 2.4%인 31억7천700만달러를 수출하며 9위를 기록했습니다.

수출통계상 컴퓨터는 노트북, 데스크탑,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컴퓨터부품을 아우릅니다.

올해는 아직 1분기 집계치이긴 하나 2010년 2.0% 이후 처음으로 한국 수출에서 컴퓨터가 차지하는 비중이 2%를 넘었습니다.

이는 2008년 2.5% 이후 최대치이기도 합니다.

코로나19의 충격 속에서도 컴퓨터는 1월 43.7%, 2월 89.2%, 3월 82.3% 등 가파른 상승 흐름을 보였습니다.

컴퓨터와 함께 수요가 늘어난 품목 중 하나인 무선통신기기의 수출액은 31억3천300만달러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컴퓨터와 같았습니다.

수출당국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재택근무와 실내활동이 늘고 온라인 교육·쇼핑,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활성화로 온라인 트래픽이 증가해 반도체·컴퓨터·가전·무선통신기기와 같은 정보기술(IT) 관련 품목의 수출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경제가 글로벌 사회 전반에 자리 잡으며 컴퓨터의 수출 호조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코트라(KOTRA)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급증 상품과 서비스에 주목하고 발 빠르게 시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