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伊 봉쇄 완화 두고 동상이몽…북부 "서두르자" 남부 "아직 일러"

伊 봉쇄 완화 두고 동상이몽…북부 "서두르자" 남부 "아직 일러"
▲ 이탈리아 베르가모의 텅빈 거리

이탈리아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수그러들면서 봉쇄 조처의 단계적 완화를 서두르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성급한 완화가 또 다른 파국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아 갈등이 예상됩니다.

이탈리아 정부는 이르면 오는 27일부터 패션·가구·자동차 등 업종의 생산활동과 공사 현장 작업을 재개하는 방안을 내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ANSA 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습니다.

아울러 봉쇄 조처 시한이 만료된 직후인 다음 달 4일부터는 사회적 거리 두기 규정을 엄격하게 지킨다는 전제 아래 식당과 술집, 공원 등이 다시 문을 열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애초 예상됐던 것보다 봉쇄의 단계적 완화 개시 시점이 앞당겨진 것은 물론 완화 범위도 한층 넓어졌습니다.

이는 최근 코로나19 확산 그래프가 아래로 꺾이기 시작했다는 전문가 분석을 바탕으로 바이러스가 통제 범위 안에 들어왔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독일·오스트리아·벨기에· 노르웨이·덴마크 등 다른 유럽 국가들이 이미 봉쇄의 단계적 완화를 시작했거나 계획을 발표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이탈리아 산업계도 정부의 봉쇄 조처 장기화가 국가 경제에 재앙적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며 조속한 해제를 압박해왔습니다.

바이러스 확산의 거점으로 인명 피해가 가장 큰 이탈리아 북부지역 역시 산업계와 보조를 같이하고 있습니다.

금융·경제 중심지인 밀라노가 속한 북부 롬바르디아와 베네토·에밀리아-로마냐 등은 이탈리아 국내총생산의 40% 이상을 차지합니다.

루카 차이아 베네토 주지사는 "최근의 코로나19 데이터는 희망적인 수치를 보여준다"며 "봉쇄는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생산활동 재개를 위한 안전 규정을 수립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탈리아 정부는 지난달 9일부터 차례로 전국 이동제한령과 휴교령, 비필수 업종·사업장 잠정 폐쇄 등의 봉쇄 조처를 도입했습니다.

이 조처는 몇 차례 연장을 거쳐 다음 달 3일까지 적용됩니다.

다만, 정부 내에서 완화 시점 결정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찬성과 반대가 맞부딪힙니다.

특히 바이러스 피해가 상대적으로 작은 남부지역에서는 북부 중심의 봉쇄 조기 완화 논의를 탐탁지 않게 바라보는 분위기입니다.

코로나19 위기가 종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북부 지역 주민이 몰려올 경우 전파 속도가 다시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빈첸초 데 루카 캄파니아 주지사는 "성급하게 이전으로 돌아가자고 압박하는 이들이 있는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면서 "아직 감염자가 많은 북부지역에서 봉쇄를 풀 경우 해당 지역 주민이 캄파니아로 오지 못하게 막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탈리아 정부는 봉쇄 완화 논의가 남북 지역 갈등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자 서둘러 진화에 나섰습니다.

이탈리아 총리실은 "봉쇄 완화 논의와 관련해 최근 며칠간 여러 설이 난무하고 있는데 아직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