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10년간 개발원조 증가율 '공여국클럽' 1위

지난 10년간 한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증가율이 공여국 29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지시간으로 어제(16일) OECD의 공적개발원조, ODA 잠정통계와 기획재정부·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의 작년 ODA 규모는 25억 2천만 달러로 DAC,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 29개국 중 15위였습니다.

한국의 ODA 총액은 전년도보다 1억 6천만 달러 늘었고, 국내총생산, GNI 대비 비율도 0.01%포인트 늘어난 0.15%로 나타났습니다.

ODA 절대 규모는 미국이 346억 1천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독일이 238억 달러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국의 ODA 규모는 14위 덴마크나 16위 벨기에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연평균 ODA 증가율의 경우 DAC 회원국 중에 가장 높았습니다.

2010~2019년 연평균 ODA 증가율은 한국이 29개 회원국 중 가장 높은 11.9%입니다.

이는 우리나라가 후진국과 개발도상국에 대한 유·무상 원조를 가장 꾸준히 큰 폭으로 올려왔다는 뜻입니다.

같은 기간 ODA 연평균 증가율은 한국에 이어 헝가리 10.5%, 독일 7% 등의 순이었습니다.

한국이 OECD DAC에 가입한 2010년 이후 스페인, 그리스 등 일부 DAC 회원국들이 글로벌 금융위기와 국내 경기침체 등 국내외 여건에 따라 점진적으로 ODA를 줄이면서 DAC 전체의 연평균 ODA 증가율은 2.4%에 그쳤습니다.

반면, 한국은 ODA를 가입 당시인 2010년에 비해서는 2배 이상 규모를 늘리면서 공여국 클럽 평균의 다섯 배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DAC는 ODA의 국제공조체제 확립을 위해 1961년에 설립돼 현재 총 29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원조 공여국 클럽'으로, 한국은 2010년에 스물네 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