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주열 "금리 여력 남아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춰 대응"

이주열 "금리 여력 남아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춰 대응"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오늘(9일) "금리 여력이 남아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춰 정책 대응을 해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오늘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인터넷을 통한 생중계 기자간담회를 열어 "선진국이 금리를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 실효 하한은 함께 내려갈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실효 하한이란 금리를 더 내려도 효과가 없는 한계선을 말합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달 임시 회의를 열어 금리를 0.50%포인트 내려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75%로 결정한 뒤 오늘에는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이 총재는 "금리를 지난번 비교적 큰 폭으로 내려 정책 여력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실효 하한이 가변적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 금리 여력은 남아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5월 금통위 인하 여부에 대해선 금리 정책 여력이 남아 있다고 답변을 하겠다"며 "금리를 낮춰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항상 상황에 맞춰 정책대응을 하게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금융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회사채, 기업어음(CP) 시장을 안정화할 수 있다고도 밝혔습니다.

이 총재는 특수목적법인을 설립해 회사채, CP를 매입하겠냐는 물음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처럼 특수목적법인을 정부 보증하에 설립하는 것은 상당히 효과카 크다"며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한 특별대출은 한계, 제약이 있어 정부와 협의해 시장안정에 대처하는 게 보다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만 "정부와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상황은 아직은 밝히기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방안은 한은이 정부보증을 전제로 회사채와 CP를 시장에서 사실상 직접 사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한은이 회사채와 CP 매입에 수반되는 신용위험을 정부보증으로 피하는 방식입니다.

이 총재는 또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한 특별대출은 현재 정부와 협의중"이라며 "회사채 시장의 주요 참가자인 증권사에 대해 우량 회사채를 담보로 대출하는 제도를 한시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이 총재는 금융 상황이 악화할 경우에는 회사채 시장 안정을 위해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해 대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한 바 있습니다.

이는 증권사가 보유한 회사채를 담보로 대출을 해주는 방안입니다.

아울러 이 총재는 국채 매입도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국고채는 수급 및 시장안정을 위해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매입할 계획"이라며 "올해 코로나19 대응 재원 마련을 위해 국채 발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데 시장안정 도모 차원에서 국채 매입을 적극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