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19 직격탄 서비스업…"만회할 수 없는 타격 우려"

코로나19 직격탄 서비스업…"만회할 수 없는 타격 우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이 서비스업을 집중적으로 타격하면서 경기를 장기적으로 제약할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비스업은 지나간 시점의 생산 감소를 만회하기 어려운 특성 때문에, 코로나19가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더 오랫동안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한국은 미국과 같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서비스업 비중이 작기 때문에 타격은 상대적으로 덜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 '역대급' 감소 2월 서비스업 생산…3월은 더 큰 위축 우려

2월 서비스업 생산은 3.5% 줄어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외부 활동을 큰 폭으로 줄인 결과입니다.

문제는 3월과 4월에는 더 큰 위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코로나19가 2월 중순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확산한 점을 고려하면 2월 수치는 코로나19 영향을 100% 반영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3월 22일부터 이달 5일까지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기간으로 정했지만, 상황이 호전되지 않아 이달 19일까지 2주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무도장·체력단련장·체육도장 등 실내체육시설,클럽·유흥주점 등 유흥시설,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추가 업종(PC방·노래방·학원 등)의 운영 제한이 연장됩니다.

약 한 달간 이들 서비스업 생산이 '증발'한다는 의미입니다.

지난해 서비스업 호조의 한 축이었던 방한 외국인 관광객 역시 더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 2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68만5천212명으로 1년 전보다 43%나 감소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국가의 코로나19 감염자가 3월 중순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한국발 입국 제한 조치를 한 국가가 100개국을 넘어서면서 항공업 등을 비롯한 관련 산업은 한계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 소비심리 둔화로 서비스업 타격 장기화 우려

소비심리가 둔화하면서 서비스업 타격이 장기화할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한 달 전보다 18.5포인트나 떨어진 78.4를 나타냈습니다.
올해 소비자물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3월(72.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하락폭은 월별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 최대 수준입니다.

KB증권이 1996년 2분기∼2019년 4분기 서비스업 생산과 소비자심리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심리지수가 1포인트 하락하면 서비스업 생산은 1년 전보다 0.12%포인트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1분기 평균 소비자심리지수는 93.2로, 작년 4분기(100)보다 6.8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지난 1분기 서비스업 생산 증가율은 작년 4분기에서 0.8%포인트 떨어진 1.3%로 계산됩니다.

다른 요인까지 반영된다면 더 큰 폭으로 떨어질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한 번 떨어진 소비자심리지수는 회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서비스업 타격은 전례 없이 장기화할 수도 있습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소비자심리지수를 보면 5월 104.8에서 6월 97.7까지 7.1포인트가 하락했다가 10월 104로 올라 회복하는 데만 5개월이 소요됐습니다.

메르스가 2015년 5∼7월 3개월만 지속했으며 사망자 수도 더 적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소비자심리지수 회복은 더 더딜 수밖에 없고 서비스업은 긴 내리막의 터널로 진입할 우려가 있습니다.

◇ "만회 안 되는 서비스업 타격 지속 우려…다른 선진국보단 덜할 듯"

이러한 서비스업 생산의 장기적인 둔화는 지금껏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은 다른 산업과는 달리 시간이 지나면 만회가 불가능하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3월에 외식을 100% 줄인 가구가 코로나19가 해소된 뒤 외식을 200% 하기 어렵다는 점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감염 우려로 영화관에 가지 않은 소비자가 상황이 종식된 뒤 영화관을 그만큼 더 찾을 것이라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따라서 서비스업 생산 감소가 장기화하면 그만큼 국내총생산(GDP)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가하는 셈입니다.

메르스 때는 2015년 5∼6월 두 달간만 서비스업 생산이 마이너스를 나타냈고, 이후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이 가장 길게 마이너스(-) 행진을 기록한 때는 금융위기 시절인 2008년 9∼12월 넉 달입니다.

일부만 코로나19의 영향권이었던 2월 서비스업 생산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 기록을 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다만 한국의 서비스업 생산 비중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상대적인 타격은 덜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한국 GDP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0%였습니다.

미국(77.4%), 영국(70.6%), 프랑스(70.3%), 일본 (69.1%), 이탈리아(66.2%) 등 다른 선진국보다 낮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만회가 안 되는 서비스업 타격이 계속될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며 "다만 다른 선진국보다는 서비스업 비중이 작기 때문에 다소 유리한 측면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