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술도 테이크아웃·배달 허용…미 코로나19에 주류 규제 완화

술도 테이크아웃·배달 허용…미 코로나19에 주류 규제 완화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급증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시행에 따라 주류업계가 규제 완화를 얻어내며 큰 승리를 거뒀다고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미국 전체 인구의 80%가량이 자택 대피령의 영향권 아래에 있을 정도로 외부 활동에 심한 제약을 받자 주 정부는 주류업계가 수십 년간 요구한 술 구입 관련 규제를 속속 완화하는 정책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규정은 주로 식당과 중소기업을 돕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가 술을 좀 더 쉽게 살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일례로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큰 뉴욕주를 비롯해 캘리포니아, 네브래스카, 버몬트, 켄터키, 콜로라도 주와 워싱턴DC는 식당이 술을 테이크아웃하거나 배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뉴욕, 메릴랜드, 뉴저지 주는 주류 판매점을 필수 사업장으로 간주해 영업을 계속할 수 있게 했습니다.

메릴랜드와 텍사스 주는 주류 판매점이 고객에게 술을 배달하는 것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와인의 경우 이미 46개 주와 워싱턴DC에서 직접 배송이 가능한 완화된 규칙을 적용받고 있었습니다.

술 배달 애플리케이션(앱)도 호황을 맞고 있다.

'드리즐리'라는 앱은 연초보다 매출이 3배 늘었고, 3월 신규 가입자가 전체 매출의 41%를 차지할 정도로 최근 신장세가 가파릅니다.

'미니바 딜리버리' 앱도 매출이 1.3배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주가 규제를 완화하진 않습니다.

펜실베이니아주는 모든 주류 판매점의 문을 닫았습니다.

이에 따라 펜실베이니아주 주민이 술을 사러 인근 뉴저지주로 넘어가는 경우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별로 규정이 다르다 보니 좀 더 통일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나옵니다.

공공정책연구기관인 'R 스트리트'의 자렛 디털레 선임연구원은 더힐에 현 상황은 주류 규제가 얼마나 구식이고 좀 더 통일성이 있어야 하는지를 대중에게 상기 시켜 준다고 말했습니다.

술 규제 완화의 위험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술 소비가 늘어 자칫 알코올 중독이나 가정 폭력 급증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데이비드 저니건 보스턴대 교수는 "가게가 화장지 구입 양을 제한하는 것과 달리 술은 아무런 제약이 없다"며 "가장 큰 문제는 알코올 사용의 보건 영향에 대한 고려 없이 모든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일단 이번 규제 완화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규정일 가능성이 큰 가운데 주류업계는 고객 편리성 등을 이유로 영구적으로 시행되길 내심 희망한다고 더힐은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