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매출 부진 못견디고…서울 음식점 · 술집 폐업 작년보다 9% 늘었다

매출 부진 못견디고…서울 음식점 · 술집 폐업 작년보다 9% 늘었다
3월 들어 서울에서 문을 닫은 음식점, 치킨집, 카페 등이 한 해 전보다 9% 늘어났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메르스 사태, 내수 부진까지 버텼던 서울 식당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매출이 급락하자 폐업과 휴업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23일 서울열린데이터광장의 서울시 식품위생업소 현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달 1~20일 1천600곳이 폐업했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 1천468곳이 문을 닫은 것과 비교하면 9.0%(132곳) 증가한 수치입니다.

음식점, 카페, 술집, 편의점이 속한 식품위생업은 진입 장벽이 낮아 자영업자들이 많이 몰리는 대표적 업종입니다.

법인이 운영하는 직영점도 일부 있지만, 개인사업자와 가맹점주 등 자영업자들이 하는 점포가 대부분입니다.

외식 업황이 나빠진 데다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부진이 본격화한 탓에 폐업한 식당들이 지난해보다 더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이달 들어 사라진 점포에는 2008년 이전에 개업해 같은 자리를 지켜오던 식당 114곳도 포함돼 있습니다.

20일 동안 폐업한 식품위생업소 1천600곳을 주요 업태별로 보면 한식집이 274곳이었습니다.

치킨집과 호프집은 83곳이었고 파스타 등을 파는 경양식집은 73곳이 폐업했습니다.

분식집은 62곳, 일식집·횟집은 41곳, 중식당은 21곳이었습니다.

카페·커피숍은 108곳이나 문을 닫았습니다.

GS25, CU,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은 20곳이 폐업했습니다.

강남구, 성북구, 서대문구 등에 있는 단란주점과 룸살롱 아홉 군데도 사라졌습니다.

핫도그나 어묵 등을 파는 기타 휴게음식점도 55곳이 사라졌습니다.

이밖에 냉면집, 호텔 뷔페, 아이스크림점, 동남아음식점, 감성주점 등 854곳이 폐업했습니다.

구별로 보면 강남구(195곳), 송파구(123곳), 서초구(101)에서 폐업한 업소가 가장 많이 나왔습니다.

주거지가 밀집해 있는 강동구(95곳), 양천구(76곳)에서도 폐업이 속출했습니다.

휴업이나 폐업을 선택하겠다는 식당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서울 명동에서 한식집을 운영하는 박모(58) 씨는 "2011년 개업 이래 최근 1주일이 가장 힘들었다. 건물주가 임대료를 내려줬지만, 지금처럼 손님을 7∼12명 받아서는 장사할 수 없다"며 "내일이라도 당장 가게 문을 닫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추어탕집 사장 임모(56) 씨도 "직장인 상대로 장사하는데 다들 재택근무하거나 구내식당만 이용하니 상황이 어렵다"며 "장사를 접고 싶어도 아직 계약 기간이 있어 쉽사리 나가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폐업과 휴업에 내몰린 자영업자들이 많은 만큼 전문가들은 정부의 정책자금이 실제로 이들에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