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텔레그램서 미성년자 '노예' 지칭하며 성 착취…억대 수익

텔레그램서 미성년자 '노예' 지칭하며 성 착취…억대 수익
인터넷 메신저 텔레그램 상에서 미성년자 등의 성 착취물을 제작·유포해 억대 수익을 얻은 이른바 '박사방' 운영자의 범행 실체가 드러났습니다.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안전과에 따르면 2018년 12월부터 이달까지 20대 조 모 씨의 범행으로 인한 피해자는 확인된 것만 미성년자 16명을 포함해 74명에 달합니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가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저희가 증거를 수집한 게 그 정도"라고 말했습니다.

경찰은 조 씨의 주거지에서 현금 약 1억 3천만 원을 압수하고 나머지 범죄수익을 추적 중입니다.

경찰에 따르면 조 씨는 아르바이트 등을 미끼로 피해자들을 유인해 얼굴이 나오는 나체사진을 받아낸 뒤 이를 빌미로 성 착취물을 찍도록 협박하고 박사방에 유포한 혐의를 받습니다.

구청·동사무소에서 일하는 사회복무요원들에게 아르바이트를 제안한 뒤 이들을 통해 피해 여성과 박사방 유료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빼돌려 이를 협박과 강요의 수단으로 삼기도 했습니다.

조 씨는 또 피해 여성을 협박해 성 착취물 유포 등 자신의 범죄에 가담하게 하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조 씨는 피해자들을 '노예'로 지칭하면서 이들로부터 착취한 영상물을 텔레그램을 통해 팔아넘겼습니다.

조 씨는 3단계의 유료 대화방을 운영했습니다.

1단계는 20만∼25만 원, 2단계는 70만 원, 3단계는 150만 원 안팎의 가상화폐를 '후원금' 명목으로 받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러한 유료 대화방을 홍보하기 위해 누구나 영상을 볼 수 있는 '맛보기' 대화방을 운영하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대화방 참여자 수가 많게는 1만 명에 이르렀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 씨는 '박사방'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는 회원들을 '직원'으로 부르면서 조직적으로 범죄에 가담시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공범에게는 자금 세탁, 성 착취물 유포, 대화방 운영 등을 맡겼고 심지어는 피해자들을 성폭행하게 하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조 씨의 공범 13명을 검거해 그중 4명을 구속 상태에서 검찰에 넘겼으며, 나머지 9명에 대해서는 수사 중입니다.

피의자들의 나이는 평균 24∼25세 정도로, 이들 중에는 미성년자도 여러 명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조 씨는 텔레그램으로만 범행을 지시하고 일절 접촉하지 않는 등 주도면밀하게 박사방을 운영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공범 중에 운영자인 '박사'를 직접 보거나 신상을 아는 자는 한 명도 없었다고 경찰은 전했습니다.

지난해 9월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수십 차례의 압수수색, 폐쇄회로(CC)TV 분석, 국제공조 수사, 가상화폐 추적 등을 통해 조 씨의 신원을 특정하고 이달 16일 체포했습니다.

조 씨는 체포 직후 자신은 박사가 아니라며 유치장에서 자해 소동을 벌이기도 했지만, 현재는 범행을 시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조 씨는 총기·마약을 판다고 속여 돈을 가로채는 등 다수 사기 행각도 벌였습니다.

경찰은 조 씨의 범죄수익을 추적해 기소 전 몰수 보전을 신청하고, 모든 범죄수익금을 국세청에 통보할 계획입니다.

또 박사방 유료회원들도 추적해 검거할 방침입니다.

경찰은 "박사방에서 취득한 성 착취물을 유포하거나 소지한 박사방 회원들도 반드시 검거해 강력하게 처벌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성 착취물을 공유하는 텔레그램 대화방은 일명 'n번방'이 시초격으로, 이후 유사한 대화방이 여러 개 만들어졌습니다.

조 씨는 지난해 9월 등장해 '박사방'으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n번방'과 '박사방' 등 텔레그램 성 착취 방을 통칭해 'n번방 사건'이라 부르며 국제 공조 수사를 촉구한 청와대 국민 청원에는 지난달 1일까지 21만 9천705명이 참여한 바 있습니다.

조 씨는 어제(19일) 밤 경찰에 구속됐습니다.

경찰은 조 씨에게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아동음란물 제작), 형법상 강제추행·협박·강요·사기, 개인정보보호법 위반(개인정보 제공), 성폭력처벌법 위반(카메라 등 이용촬영) 혐의를 적용했습니다.

경찰은 조 씨의 신상을 공개할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다음 주 중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