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7세소년 사망이 던진 '고민'…"코로나에 치료 밀리는 일반환자"

17세소년 사망이 던진 '고민'…"코로나에 치료 밀리는 일반환자"
"감염병이 대유행하다 보면 오히려 일반 환자들이 적절한 진료를 못 받아서 사망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문제를 모든 병원이 반드시 고민해봐야 합니다."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도리어 일반 환자들이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습니다.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구에서 폐렴 증세를 보이다 사망한 17세 소년은 고열에도 불구하고 '제때' 입원 치료를 받지 못했습니다.

체온이 39도까지 오른 12일 경북 경산 중앙병원 선별진료소를 찾았지만, 시간이 늦어 검사를 받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다음날인 13일 영남대병원에 입원했지만 5일 만에 숨졌습니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는 "영남대병원에 갔을 때부터 상황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안다"며 "일찍 치료해야 했는데 (앞선) 병원에서 집으로 돌려보낸 게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병원 상황은 잘 모르지만 17세 정도면 해열제만 먹고도 괜찮을 거라고 판단했던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의료계에서는 유사한 사례가 추가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금도 사망에 이르진 않더라도 적시에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 서울 주요 대학병원은 호흡기질환 환자의 경우 진료를 연기하도록 권유하고,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코로나19 검사를 먼저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환자들이 치료를 받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은 길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의사 판단에 따라 검사 결과 전에 응급으로 치료를 받을 수도 있지만, 자칫하면 초기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

의료계에서는 정부가 코로나19 환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임상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정보가 없다 보니 막연한 공포감에 현장의 대처가 방어적으로 될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