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러시아 금융시장 '곤두박질'…"2016년 이후 최악 상황"

국제 저유가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 속에 러시아 금융시장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습니다.

외화 대비 루블화(러시아 통화) 환율이 치솟고(가치 하락), 주가도 추락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18일(현지시간) 모스크바 증권거래소(외환시장 포함)에서 달러 대비 루블화 환율은 장중 한때 전장 종가 대비 6% 이상 오른 80.01루블까지 상승했습니다.

유로 대비 루블화 환율도 전장 대비 5.7% 오른 87.66루블을 기록했습니다.

루블/달러, 루블/유로 환율 모두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러시아 경제가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던 2016년 2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러시아의 주요 주가지수인 RTS 지수도 이날 전장보다 11% 이상 하락한 830.44까지 떨어졌습니다.

지난 2016년 8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러시아의 금융 지표 악화는 국제 유가 하락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과 러시아 내 확진자 수 증가 상황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5월물 브렌트유는 이날 오후(모스크바 시간 기준) 한 때 전날보다 3.5% 내린 배럴당 27.72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5.63% 미끄러진 배럴당 25.79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브렌트유는 이후 2003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26달러대까지 떨어졌습니다.

러시아의 코로나19 확진자는 하루 동안 33명이 늘어 이날 현재 147명으로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와 양적 완화 발표, 주요국의 경기 부양책 등이 국제 금융시장 안정화에 일정 부분 기여했으나 국제 유가 하락 추세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금융그룹 노르디아의 분석가 그리고리 쥐르노프는 "유가가 배럴당 20~30 달러 선에 머물면 루블/달러 환율은 75~82루블 사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만일 루블/달러 환율이 82루블에 근접하면 러시아 중앙은행이 금융위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현지 일간 '베도모스티'는 러시아 최대 국영은행인 '스베르방크'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3가지 위기 시나리오를 작성하면서, 유가가 배럴당 20달러까지 떨어지고 루블/달러 환율이 100루블까지 치솟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점검했다고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