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조 달러 부양책" 뉴욕증시 '힘겨운 급반등'…다우지수 1,000p↑

"1조 달러 부양책" 뉴욕증시 '힘겨운 급반등'…다우지수 1,000p↑
지난 1987년 '블랙먼데이' 이후로 최악의 하루를 보냈던 뉴욕증시가 하루 만에 급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다만 뉴욕증시의 자체적인 반등 동력은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연방정부와 중앙은행이 잇따라 조치를 쏟아내면서 힘겹게 주가지수를 끌어올린 모양새입니다.

17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048.86포인트(5.20%) 급등한 21,237.38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반등폭은 1,000포인트를 웃돌았지만 무려 3,000포인트에 달했던 전날의 낙폭을 되찾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43.06포인트(6.00%) 오른 2,529.1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30.19포인트(6.23%) 상승한 7,334.78에 각각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개장 직후 600포인트 이상 올랐다가,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하락 반전했습니다.

장중 300포인트 이상 밀리면서 2만선이 무너지기도 했습니다.

전날 곤두박질했던 상황에서도 장 초반 기술적인 반등에 실패한 셈입니다.

재정·통화 당국이 나서면서 시장 분위기가 개선됐습니다.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기업과 가계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어음(CP) 시장이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CP매입기구(CPFF)를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PFF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기업체의 CP를 사들이기 위해 한시적으로 운용된 장치입니다.

지난 15일 기준금리를 파격 인하하고 양적 완화(QE)를 재개했지만, 시장의 불안이 잦아들지 않자 당장 현금 확보가 다급한 기업체 지원까지 나선 것입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정책 기대감이 강력한 반등 동력을 제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브리핑에 참석, 경기부양책과 관련해 "우리는 크게 가겠다"는 말을 수차례 반복했습니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은 구체적인 정책 중 하나로 국민에게 직접 현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도 밝혔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경기부양책 규모가 8천500억달러, 최대 1조2천억 달러에 달한다는 보도도 나옵니다.

약 1조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 전망이 뉴욕증시 반등을 이끌었다고 CNBC 방송은 전했습니다.

다만 뉴욕증시의 추세적인 반등을 기대하기에는 여전히 시장의 공포심리가 우세합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날보다 약 10% 하락한 74선에 머물고 있습니다.

변동성지수(VIX)는 전날 82.69로 치솟은 바 있습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1월의 80.74를 웃도는 사상 최고 기록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