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개학 또 2주 연기에 한숨만…직격탄 맞은 급식업체 · 납품 농가

개학 또 2주 연기에 한숨만…직격탄 맞은 급식업체 · 납품 농가
▲ 텅 빈 학교급식 농산물 운반 카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장기화로 교육부가 17일 개학을 추가로 연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학교 급식업체와 식자재 생산 농가들이 또다시 깊은 시름에 잠겼습니다.

23일 개학을 기대하며 겨우 버텼지만 다음 달 6일로 또 미뤄지자 폐업을 걱정하는 급식업체까지 생겼습니다.

학교에 납품하려고 미리 수확해 놓은 감자가 썩어들어가는 모습을 본 농민은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경남 창원의 한 급식 유통업체는 이달 들어 매출이 전혀 없습니다.

학교 급식만 취급해 개학 연기 여파를 그대로 맞고 있습니다.

이 업체 A(48) 대표는 처음 개학이 연기됐을 때 직원들에게 휴직을 권고했습니다.

A 대표는 통화에서 "개학이 더 연기돼 직원들을 언제 다시 부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막막한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납품업체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이 지역 한 납품업체는 23일 개학을 대비해 준비해 놓은 급식 일부를 폐기해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유통기한이 다음 달 초여서 급식판에 올리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 업체 역시 개학이 더 미뤄지자 직원들에게 휴직 권고를 검토 중입니다.

이 업체 관계자는 "일감 없이 인건비만 계속 나가고 물품 폐기까지 해야 할 판이라 업체 운영이 쉽지 않다"고 한탄했습니다.

한 급식업체는 "운영비 등 고정비용이 큰 업체는 타격이 크다"며 "고용 유지만 하면서 이 어려운 시기가 지나길 기다리는데 이런 상황이 장기화한다면 존폐 위기에 내몰리는 업체도 생길 것"이라고 걱정했습니다.

경기지역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입니다.

이 지역 학교는 대부분 경기도친환경급식지원센터를 통해 계약한 농가에서 급식용 농산물을 공급받습니다.

이달 납품을 위해 계약 재배한 농산물 중 딸기의 경우 금세 시들어 경기도교육청 직원들이 동참해 530㎏을 주문했습니다.

개학 추가 연기로 냉이, 대파, 시금치 등 저장이 어려운 친환경농산물을 공동구매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긴 겨울방학이 끝나고 개학과 함께 학생들이 몰릴 것으로 기대했던 학교앞 문구점과 분식점 등도 여느 해보다 힘겨운 봄을 보내고 있습니다.

대구 성동초교 인근의 문구점들은 이달 들어 문을 열지 않았습니다.

주변에 학원이 많고 4천 가구가 넘는 아파트 단지가 있어 방학 중에도 초등학생들이 찾았지만 지난달 하순부터는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한 문구점 주인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터넷으로 학용품을 사는 학생들이 대부분인데 개학까지 추가 연기됐다"며 "이 같은 상황이 조금만 더 지속하면 대구시내 초등학교 주변 문구점은 다 망할 것"이라고 걱정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