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코로나19로 개학 추가 연기 가능성…"급식 식자재 어쩌나"

코로나19로 개학 추가 연기 가능성…"급식 식자재 어쩌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개학 연기로 학교 급식 납품이 중단돼 농가의 피해가 우려됩니다.

수도권까지 확산한 코로나19로 개학 추가 연기 가능성마저 나오면서 보관 기간이 짧은 작물 재배농가의 시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전북도 등에 따르면 개학 연기로 보름 동안 도내 학교에 납품되지 못한 친환경 농산물 등 식자재는 270여t에 달합니다.

피해액은 2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러한 친환경농산물 대부분은 채소류라 보관 기간이 길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제때 납품하지 못한 작물은 수확하지 않고 퇴비로 쓰거나 헐값에 전통시장 등에 내다 팔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은 농가가 고스란히 떠안아야 합니다.

새로운 판로 개척도 녹록지 않은 상황입니다.

학교에 친환경 농산물을 납품하는 농가 대부분은 계약 재배를 통해 일찌감치 판로를 확보하기 때문에 새로운 거래처를 뚫는 게 쉽지 않습니다.

여기에 봄철 집중적으로 출하하는 잎채소류는 생육 특성상 하루 이틀만 지나도 상품성이 급격히 떨어져 시장에 내놓기 어렵다는 게 농가의 설명입니다.

조성근 전북 친환경농업인연합회 사무처장은 "대형마트 같은 데 농산물을 내다 팔려고 해도 그곳도 이미 계약 형태로 들어온 농가들이 있기 때문에 새로 들어가기가 어렵다"며 "우리도 계약대로 농사를 지었는데 코로나19 여파로 판로가 모두 막혀 막막할 따름"이라고 토로했습니다.

전북도와 도 교육청 등은 개학 연기로 판로가 막힌 친환경농산물을 담은 꾸러미 판매 운동을 하고 있지만, 공무원 등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판로에 그쳐 농가의 손실을 보전하지는 못하는 실정입니다.

도 관계자는 "관공서나 군 부대 등 다른 기관에 친환경농산물 납품 여부를 타진하고 있으나 이미 납품받는 농가들이 있어서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된다"면서 "코로나19가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은 전국적인 감염병이라 타 시·도를 통한 판로 개척도 불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소비 촉진 운동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피해 농가를 위한 현실적인 지원 대책을 도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