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평화합의 서명 이틀 만에…탈레반, 아프간 정부군 공격 시작

평화합의 서명 이틀 만에…탈레반, 아프간 정부군 공격 시작
▲ 아프가니스탄 라그만에서 평화합의 타결을 자축하는 탈레반

아프가니스탄 무장반군조직 탈레반이 미국과 평화합의 서명 이틀 만에 아프간 정부군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

탈레반은 일주일간의 '폭력감축' 조치가 공식적으로 끝난 만큼 정상적인 작전 개시가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런 군사 충돌이 어렵사리 진행되고 있는 아프간 평화 구축 노력에 암초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3일 톨로뉴스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탈레반 지도부는 전날 아프간 정부군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다만 미군 등 외국군은 공격 대상에서 제외하라고 덧붙였다.

탈레반은 지난달 29일 평화합의에 앞서 미국 측과 일주일간의 사전 폭력 감축 조치에 동의했다.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지난 2일 "이제 폭력 감축은 공식적으로 종료됐고 정상적인 작전(normal operations)이 재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탈레반은 실제로 이날 발흐, 파리아브, 난가르하르, 자불 등 곳곳에서 정부군을 공격했다고 톨로뉴스는 밝혔다.

이에 대해 아프간 정부는 강하게 반발하는 분위기다.

평화협상 과정에서 탈레반이 폭력 감축 연장에 사실상 동의했는데 이를 어겼다는 것이다.

아슈라프 가니 아프간 대통령은 지난 1일 기자회견에서 "합의에 따라 폭력 감축은 연장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정전으로 이어지게 된다"며 "미국 측이 탈레반 측에 이 점을 분명히 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스콧 밀러 아프간 주둔 미군 사령관도 트위터를 통해 "미국은 폭력 수위가 계속 낮아야한다는 기대를 분명하게 밝혀왔다"며 이같은 상황에 우려를 드러냈다.

평화합의가 타결된 지 며칠 만에 아프간 안팎에서 심각한 이견이 발생한 셈이다.

아프간 정부는 탈레반의 반대로 이번 평화협상에 참여하지 못했다.

탈레반은 아프간 정부는 미국의 꼭두각시라며 그간 직접 협상을 거부해왔다.

앞으로 아프간에 평화가 완전히 구축되려면 외국군 철수와 함께 기존 정부와 탈레반 간의 협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포로 교환과 관련해서도 불협화음이 터져 나왔다.

미국과 탈레반은 합의의 신뢰를 확인하기 위해 이달 10일까지 국제동맹군·아프간 정부군에 수감된 탈레반 대원 5천명과 탈레반에 포로로 잡힌 아프간군 1천명을 교환하기로 했는데 아프간 정부는 "이와 관련해 어떤 약속도 하지 않았다"고 밝힌 것이다.

이에 탈레반은 "수감된 5천명이 풀려나지 않으면 아프간 내부 정파 간 대화는 없을 것"이라고 반발하는 상황이다.

미국은 이번 합의에서 아프간에 파병된 미군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국제동맹군을 14개월 안에 모두 철군하기로 했다.

대신 탈레반은 아프간에서 알카에다와 같은 극단주의 무장조직이 미국과 동맹국을 공격하는 활동 무대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지난 2일 동부 호스트의 축구 경기장에서 폭발 공격이 발생, 민간인 3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다쳤다.

다만, 탈레반은 이 공격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사진=AF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